시장 충격 발생하면 유동성 위기 '뇌관'전문가들 "총량 규제 등 리스크 관리 시급"
최근 증권회사들의 자산유동화 기업어음(ABCP)매입보장이나 지급보증 등 우발채무가 급격히 늘면서 유동성 위험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증권업계의 침체가 지속되고 있고 콜차입 규제도 강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시장 충격이 발생하면 치명적인 유동성 부족사태가 올 수 있다며 이에 대한총량 규제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27일 금융감독원과 한국기업평가에 따르면 증권사들의 우발채무 규모는 지난 2010년 말 6조1천억원에서 지난해 말 15조8천억원으로 160%나 급증했다. 3년 사이 2.5배로 늘어난 셈이다.
우발채무 중 매입보장 약정 규모는 3년간 6조∼8조원 선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돼왔으나 기타약정 규모가 2012년 이후 급격히 늘었다.
과거 증권사들은 유동화 증권의 차환위험을 통제하기 위한 매입보장 약정만을주로 제공했었지만, 2012년 이후엔 신용 보강 목적의 유동화 익스포저(위험노출액)를 확대했다.
채무보증에 관한 영업용 순자본비율(NCR) 규제가 완화된 점도 영향을 줬다.
채무보증금액은 영업용 순자본에서 빼야 하는 항목이었으나, 2012년부터 금융투자업 규정이 개정돼 지급의무가 발생하지 않은 채무보증금액은 거래상대방의 신용위험 값에 따라 위험액을 산정하는 방식으로 변경됐다.
더구나 작년 5월부터는 만기 1년 이상 장기 기업어음(CP)에 대해 증권신고서 제출의무가 부과돼 발행이 어려워지자 차환구조의 유동화 증권 발행이 증가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
업계에서는 개별 증권사별로 유동화 익스포저 규모가 다르지만 작년 연간 제공액이 1조원을 넘어선 증권사가 있고 상위 5개사의 평균 제공액도 8천억원에 달하는등 위험수위에 달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처럼 증권사들의 우발채무가 급증한 상황에서 유동화 자산 또는 증권사의 신용도가 떨어지거나 금융시장의 시스템 리스크가 발생하면 심각한 유동성 부족사태가벌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총량 규제가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김경무 한국기업평가 평가기준실 전문위원은 "NCR 규제 완화와는 별개로 증권사의 유동성 위험 관리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면서 "증권업계의 수익성회복을 위한 규제 완화도 좋지만 리스크 관리 강화도 병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hoonkim@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최근 증권회사들의 자산유동화 기업어음(ABCP)매입보장이나 지급보증 등 우발채무가 급격히 늘면서 유동성 위험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증권업계의 침체가 지속되고 있고 콜차입 규제도 강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시장 충격이 발생하면 치명적인 유동성 부족사태가 올 수 있다며 이에 대한총량 규제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27일 금융감독원과 한국기업평가에 따르면 증권사들의 우발채무 규모는 지난 2010년 말 6조1천억원에서 지난해 말 15조8천억원으로 160%나 급증했다. 3년 사이 2.5배로 늘어난 셈이다.
우발채무 중 매입보장 약정 규모는 3년간 6조∼8조원 선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돼왔으나 기타약정 규모가 2012년 이후 급격히 늘었다.
과거 증권사들은 유동화 증권의 차환위험을 통제하기 위한 매입보장 약정만을주로 제공했었지만, 2012년 이후엔 신용 보강 목적의 유동화 익스포저(위험노출액)를 확대했다.
채무보증에 관한 영업용 순자본비율(NCR) 규제가 완화된 점도 영향을 줬다.
채무보증금액은 영업용 순자본에서 빼야 하는 항목이었으나, 2012년부터 금융투자업 규정이 개정돼 지급의무가 발생하지 않은 채무보증금액은 거래상대방의 신용위험 값에 따라 위험액을 산정하는 방식으로 변경됐다.
더구나 작년 5월부터는 만기 1년 이상 장기 기업어음(CP)에 대해 증권신고서 제출의무가 부과돼 발행이 어려워지자 차환구조의 유동화 증권 발행이 증가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
업계에서는 개별 증권사별로 유동화 익스포저 규모가 다르지만 작년 연간 제공액이 1조원을 넘어선 증권사가 있고 상위 5개사의 평균 제공액도 8천억원에 달하는등 위험수위에 달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처럼 증권사들의 우발채무가 급증한 상황에서 유동화 자산 또는 증권사의 신용도가 떨어지거나 금융시장의 시스템 리스크가 발생하면 심각한 유동성 부족사태가벌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총량 규제가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김경무 한국기업평가 평가기준실 전문위원은 "NCR 규제 완화와는 별개로 증권사의 유동성 위험 관리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면서 "증권업계의 수익성회복을 위한 규제 완화도 좋지만 리스크 관리 강화도 병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hoonkim@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