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곳은 순이익 내고도 배당 안 해…"투자활동 감안했을 것"
코스피200 기업 중 배당을 하지 않은 기업 수가최근 3년간 꾸준히 증가했으며 지난해에는 전체 기업의 5분의 1이 무배당 기업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기업지배구조원에 따르면 지난해 코스피200 소속 기업 중 40곳이 배당을하지 않았다. 2011년에는 30곳, 2012년에는 36곳이 무배당을 결정했다.
지난해 무배당한 40개 기업 가운데 12개사는 순이익이 발생했음에도 배당을 하지 않았다.
기업지배구조원은 무배당을 결정한 기업이 배당을 한 기업에 비해 전반적으로수익성이 저조했고 재무구조의 안정성도 낮았다고 분석했다.
무배당 기업의 매출액 대비 순이익율과 자기자본 대비 이익률은 각각 -6.85%,-12.80%로 순손실을 낸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배당을 한 기업의 경우 매출액순이익률 5.90%, 자기자본이익률 6.88%로 플러스 성과를 냈다.
오윤진 기업지배구조원 연구원은 "무배당을 결정한 기업은 상대적으로 수익성이저조해 배당금을 지급할 수 있는 이익이 부족했던 것"이라며 "다만 무배당 기업 중12곳은 순이익이 났지만 배당을 실시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오 연구원에 따르면 이들 12개 기업은 전체 무배당 기업과 비교해 투자활동에들어간 현금 비중이 높았다. 즉, 투자활동을 감안해 무배당을 결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배당을 하지 않은 기업은 부채비율도 배당을 한 기업보다 훨씬 높았다.
무배당 기업의 자기자본 대비 부채비율은 344.13%로, 배당 기업(170.56%)의 2배를 뛰어넘었다.
오 연구원은 "부채비율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재무구조의 안정성이 떨어진다는뜻"이라며 "재무구조가 불안정할수록 배당을 통해 이익을 환원하기보다는 부채 상환에 현금을 우선 사용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yuni@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코스피200 기업 중 배당을 하지 않은 기업 수가최근 3년간 꾸준히 증가했으며 지난해에는 전체 기업의 5분의 1이 무배당 기업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기업지배구조원에 따르면 지난해 코스피200 소속 기업 중 40곳이 배당을하지 않았다. 2011년에는 30곳, 2012년에는 36곳이 무배당을 결정했다.
지난해 무배당한 40개 기업 가운데 12개사는 순이익이 발생했음에도 배당을 하지 않았다.
기업지배구조원은 무배당을 결정한 기업이 배당을 한 기업에 비해 전반적으로수익성이 저조했고 재무구조의 안정성도 낮았다고 분석했다.
무배당 기업의 매출액 대비 순이익율과 자기자본 대비 이익률은 각각 -6.85%,-12.80%로 순손실을 낸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배당을 한 기업의 경우 매출액순이익률 5.90%, 자기자본이익률 6.88%로 플러스 성과를 냈다.
오윤진 기업지배구조원 연구원은 "무배당을 결정한 기업은 상대적으로 수익성이저조해 배당금을 지급할 수 있는 이익이 부족했던 것"이라며 "다만 무배당 기업 중12곳은 순이익이 났지만 배당을 실시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오 연구원에 따르면 이들 12개 기업은 전체 무배당 기업과 비교해 투자활동에들어간 현금 비중이 높았다. 즉, 투자활동을 감안해 무배당을 결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배당을 하지 않은 기업은 부채비율도 배당을 한 기업보다 훨씬 높았다.
무배당 기업의 자기자본 대비 부채비율은 344.13%로, 배당 기업(170.56%)의 2배를 뛰어넘었다.
오 연구원은 "부채비율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재무구조의 안정성이 떨어진다는뜻"이라며 "재무구조가 불안정할수록 배당을 통해 이익을 환원하기보다는 부채 상환에 현금을 우선 사용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yuni@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