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자유무역협정(FTA) 타결 소식과 유럽중앙은행(ECB) 총재의 경기부양 발언 등에 따른 기대감으로 지난 한 주간 국내 주식형펀드가 플러스 수익률을 냈다.
15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전날 오전 기준 주식형 펀드의 한 주간 수익률은 0.97%로 집계됐다.
지난주 국내 주식시장은 한중 FTA 타결 소식이 전해지면서 수출주 중심으로 강세를 나타냈다. 이에 코스피도 1.24% 상승했다.
코스피200 지수가 한 주간 1.24% 상승하면서 K200인덱스펀드의 수익률이 1.16%로 가장 높았다.
일반주식펀드와 배당주식펀드도 각각 0.78%, 0.31%의 수익률을 기록하는 등 소유형 기준으로 모든 유형의 펀드가 플러스 성과를 냈다.
주식형펀드 외에 일반주식혼합펀드가 0.46%의 수익률을 낸 반면, 일반채권혼합펀드는 -0.03%의 마이너스 성적을 기록했다.
절대수익추구형 펀드인 채권알파펀드와 시장중립펀드 역시 각각 0.03%의 수익률을 나타냈다.
순자산액(클래스 합산) 100억원 이상, 운용기간 1개월 이상인 국내주식펀드 1천674개 펀드 중 플러스 수익률을 달성한 펀드는 1천384개에 달했다.
운수장비 업종의 강세로 조선주와 자동차 관련 기타인덱스펀드가 주간 성과 상위권에 자리했다.
KRX조선지수를 추종하는 '삼성KODEX조선주상장지수[주식]' 펀드가 7.41%의 최고수익률을 기록했다.
반면 은행주 약세로 은행주 관련 기타인덱스펀드와 중소형주 펀드들의 성적은부진했다.
은행주 관련 종목으로 구성된 KRX BANKS지수를 따르는 '미래에셋TIGER은행상장지수(주식)' 펀드와 '삼성KODEX은행상장지수[주식]' 펀드가 각각 -2.34%의 수익률로성과 하위권에 자리했다.
국내 채권형 펀드의 주간 수익률은 -0.21%로 집계됐다.
국내 채권시장은 경제부총리의 금리 관련 보수적인 발언과 외국인의 국채 선물순매도 증가에 약세를 나타냈다.
자산액(클래스 합산) 100억원 이상, 운용기간 1개월 이상인 184개 국내채권형펀드 가운데 14개 펀드만 플러스 성과를 냈다.
한편, 해외주식형 펀드의 주간 수익률은 미국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으로 1.43%를 기록했다.
세계 증시 호조 속에 인도주식펀드가 외국인의 집중 매수세에 힘입어 2.07%의높은 수익률을 나타냈다.
이외에 중국주식펀드(2.05%)와 일본주식펀드(1.99%), 북미주식펀드(1.18%) 등도플러스 수익률을 냈다.
반면 브라질주식펀드는 경기 둔화 우려로 -2.73%의 수익률로 가장 부진한 성과를 보였다.
yuni@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15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전날 오전 기준 주식형 펀드의 한 주간 수익률은 0.97%로 집계됐다.
지난주 국내 주식시장은 한중 FTA 타결 소식이 전해지면서 수출주 중심으로 강세를 나타냈다. 이에 코스피도 1.24% 상승했다.
코스피200 지수가 한 주간 1.24% 상승하면서 K200인덱스펀드의 수익률이 1.16%로 가장 높았다.
일반주식펀드와 배당주식펀드도 각각 0.78%, 0.31%의 수익률을 기록하는 등 소유형 기준으로 모든 유형의 펀드가 플러스 성과를 냈다.
주식형펀드 외에 일반주식혼합펀드가 0.46%의 수익률을 낸 반면, 일반채권혼합펀드는 -0.03%의 마이너스 성적을 기록했다.
절대수익추구형 펀드인 채권알파펀드와 시장중립펀드 역시 각각 0.03%의 수익률을 나타냈다.
순자산액(클래스 합산) 100억원 이상, 운용기간 1개월 이상인 국내주식펀드 1천674개 펀드 중 플러스 수익률을 달성한 펀드는 1천384개에 달했다.
운수장비 업종의 강세로 조선주와 자동차 관련 기타인덱스펀드가 주간 성과 상위권에 자리했다.
KRX조선지수를 추종하는 '삼성KODEX조선주상장지수[주식]' 펀드가 7.41%의 최고수익률을 기록했다.
반면 은행주 약세로 은행주 관련 기타인덱스펀드와 중소형주 펀드들의 성적은부진했다.
은행주 관련 종목으로 구성된 KRX BANKS지수를 따르는 '미래에셋TIGER은행상장지수(주식)' 펀드와 '삼성KODEX은행상장지수[주식]' 펀드가 각각 -2.34%의 수익률로성과 하위권에 자리했다.
국내 채권형 펀드의 주간 수익률은 -0.21%로 집계됐다.
국내 채권시장은 경제부총리의 금리 관련 보수적인 발언과 외국인의 국채 선물순매도 증가에 약세를 나타냈다.
자산액(클래스 합산) 100억원 이상, 운용기간 1개월 이상인 184개 국내채권형펀드 가운데 14개 펀드만 플러스 성과를 냈다.
한편, 해외주식형 펀드의 주간 수익률은 미국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으로 1.43%를 기록했다.
세계 증시 호조 속에 인도주식펀드가 외국인의 집중 매수세에 힘입어 2.07%의높은 수익률을 나타냈다.
이외에 중국주식펀드(2.05%)와 일본주식펀드(1.99%), 북미주식펀드(1.18%) 등도플러스 수익률을 냈다.
반면 브라질주식펀드는 경기 둔화 우려로 -2.73%의 수익률로 가장 부진한 성과를 보였다.
yuni@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