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K컨소시엄, 14일 금호아시아나그룹에 최후통첩
호반건설이 금호산업[002990] 지분 인수에 이어 금호아시아나그룹의 모태기업인 금호고속에도 눈독을 들이고 있다.
5일 투자은행(IB)과 산업계에 따르면 호반건설은 매각을 추진 중인 금호고속에대한 투자제안서(IM)를 받아간 것으로 알려졌다.
금호고속의 대주주인 IBK투자증권-케이스톤파트너스 사모펀드는 다음 달 2일까지 금호그룹이 금호고속 인수 우선매수권을 행사하지 않기로 하면 금호고속을 공개경쟁입찰로 매각할 방침이다.
IBK 측은 이달 14일 금호그룹 측에 우선매수청구권 행사 가격과 조건이 담긴 '최종 매각제안'을 할 계획이다.
계약에 따라 금호그룹 측은 2주 후인 다음 달 2일까지 IBK-케이스톤파트너스가제안한 가격에 금호고속을 되살지를 결정해야 한다. 금호그룹이 IBK의 제안을 수용하지 않으면 계약에 따라 우선매수권을 잃게 된다.
금호산업은 2012년 8월 핵심 자산을 묶어 매각하는 '패키지딜(Package Deal)'로모태기업인 금호고속을 IBK-케이스톤파트너스 측에 넘기면서 2∼3년 내 되살 수 있는 우선매수권을 갖게 됐다. 계약상 IBK가 금호고속을 매각할 때 금호산업은 제 3자가 제시한 최고 가격에 금호고속을 인수할 수 있다.
금호산업은 당시 8천억원 규모의 채권단 채무를 갚으려고 대우건설[047040] 주식(14.6%)과 서울고속버스터미널(38.7%), 금호고속(100%) 등의 자산을 IBK투자증권-케이스톤파트너스 사모펀드에 넘겼다.
IB업계의 한 관계자는 "시장 가격 산정을 위해 투자자들의 의견을 받아본 결과호반건설 등 30여개 투자자들이 금호고속의 투자제안서를 요구했다"며 "금호그룹이PEF 쪽의 최종 제안을 거부하고 우선매수권 행사를 포기하면 금호고속도 경쟁입찰에넘겨진다"고 말했다.
업계는 금호고속의 제안가격이 4천억∼6천억원대 수준에서 논의될 것으로 보고있다.
호반건설은 또 매각작업이 본격화한 금호산업 지분 4.95%를 '단순투자목적'으로보유해 주목을 끌고 있다.
산업은행 등 채권단은 이달 25일까지 금호산업에 대한 인수의향서(LOI)를 받기로 했다. 금호산업 인수전에서는 50%+1주에 대한 우선매수권을 보유한 박삼구 금호그룹 회장에게 가장 먼저 기회가 주어진다.
그러나 우선매수권을 가진 금호그룹이 두 기업을 되사는 데 실패하면 금호산업과 금호고속, 금호산업이 지분 30%를 보유한 아시아나항공까지 다른 기업으로 넘어갈 가능성도 있다.
증시 전문가들은 산업은행 등 채권단이 금호산업을 연내 매각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김경기 토러스증권 연구원은 "산업은행은 대우건설과 대우증권[006800], 대우조선해양[042660], STX조선해양 등 다수의 기업을 갖고 있다"며 "산업은행 입장에선부실경영 지적을 받을 수 있어 금호산업 매각을 서두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산업은행은 금호산업 지분을 최대한 비싸게 팔 것"이라며 "금호산업의 매각이 재계의 높은 관심 속에 빠른 속도로 진행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indigo@yna.co.kr ykba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호반건설이 금호산업[002990] 지분 인수에 이어 금호아시아나그룹의 모태기업인 금호고속에도 눈독을 들이고 있다.
5일 투자은행(IB)과 산업계에 따르면 호반건설은 매각을 추진 중인 금호고속에대한 투자제안서(IM)를 받아간 것으로 알려졌다.
금호고속의 대주주인 IBK투자증권-케이스톤파트너스 사모펀드는 다음 달 2일까지 금호그룹이 금호고속 인수 우선매수권을 행사하지 않기로 하면 금호고속을 공개경쟁입찰로 매각할 방침이다.
IBK 측은 이달 14일 금호그룹 측에 우선매수청구권 행사 가격과 조건이 담긴 '최종 매각제안'을 할 계획이다.
계약에 따라 금호그룹 측은 2주 후인 다음 달 2일까지 IBK-케이스톤파트너스가제안한 가격에 금호고속을 되살지를 결정해야 한다. 금호그룹이 IBK의 제안을 수용하지 않으면 계약에 따라 우선매수권을 잃게 된다.
금호산업은 2012년 8월 핵심 자산을 묶어 매각하는 '패키지딜(Package Deal)'로모태기업인 금호고속을 IBK-케이스톤파트너스 측에 넘기면서 2∼3년 내 되살 수 있는 우선매수권을 갖게 됐다. 계약상 IBK가 금호고속을 매각할 때 금호산업은 제 3자가 제시한 최고 가격에 금호고속을 인수할 수 있다.
금호산업은 당시 8천억원 규모의 채권단 채무를 갚으려고 대우건설[047040] 주식(14.6%)과 서울고속버스터미널(38.7%), 금호고속(100%) 등의 자산을 IBK투자증권-케이스톤파트너스 사모펀드에 넘겼다.
IB업계의 한 관계자는 "시장 가격 산정을 위해 투자자들의 의견을 받아본 결과호반건설 등 30여개 투자자들이 금호고속의 투자제안서를 요구했다"며 "금호그룹이PEF 쪽의 최종 제안을 거부하고 우선매수권 행사를 포기하면 금호고속도 경쟁입찰에넘겨진다"고 말했다.
업계는 금호고속의 제안가격이 4천억∼6천억원대 수준에서 논의될 것으로 보고있다.
호반건설은 또 매각작업이 본격화한 금호산업 지분 4.95%를 '단순투자목적'으로보유해 주목을 끌고 있다.
산업은행 등 채권단은 이달 25일까지 금호산업에 대한 인수의향서(LOI)를 받기로 했다. 금호산업 인수전에서는 50%+1주에 대한 우선매수권을 보유한 박삼구 금호그룹 회장에게 가장 먼저 기회가 주어진다.
그러나 우선매수권을 가진 금호그룹이 두 기업을 되사는 데 실패하면 금호산업과 금호고속, 금호산업이 지분 30%를 보유한 아시아나항공까지 다른 기업으로 넘어갈 가능성도 있다.
증시 전문가들은 산업은행 등 채권단이 금호산업을 연내 매각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김경기 토러스증권 연구원은 "산업은행은 대우건설과 대우증권[006800], 대우조선해양[042660], STX조선해양 등 다수의 기업을 갖고 있다"며 "산업은행 입장에선부실경영 지적을 받을 수 있어 금호산업 매각을 서두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산업은행은 금호산업 지분을 최대한 비싸게 팔 것"이라며 "금호산업의 매각이 재계의 높은 관심 속에 빠른 속도로 진행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indigo@yna.co.kr ykba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