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채권단이 대우조선해양[042660]에 대해고강도 구조조정을 검토 중이라는 소식이 15일 알려지자 증권사들은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가능성은 낮을 것이라는 전망을 잇달아 내놨다.
한국투자증권은 자율협약(채권단 공동관리) 채택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김기명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일반적으로 채권은행 입장에서는 부실 조선업체의 구조조정 방식을 채택하는 데 있어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를 선택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조선업체가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선수금지급보증(RG)을 선 금융기관이 환급보증을 이행해야 하는 경우가 생겨 금융기관의 피해가 막대해질 수 있고 신규 수주가 어려워져 부실 조선업체의 갱생에 심각한 장애요인이 될 수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채권단 자율협약은 일시적인 유동성 위기로 기업이 흑자 도산하는 것을 막고자채권단이 시행하는 기업 지원책으로, 워크아웃까지 갈 필요는 없으나 유동성 지원이필요한 기업이 주요 대상이다. 말 그대로 법적 구속력은 없다.
대신 기업과 채권단이 자율적으로 협약을 맺고 기업은 이 협약에 따라 구조조정을 실행하게 된다.
다만 채권금융기관 채권총액의 4분의 3 이상의 동의가 필요한 워크아웃과 달리자율협약은 채권단 100%의 동의가 필요하다.
김 연구원은 "STX조선해양이나 성동조선, SPP조선이 모두 자율협약 상태에서 구조조정 작업을 진행하는 것은 이 때문"이라며 "대우조선해양에 대해서도 채권은행이자율협약을 채택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이베스트투자증권도 워크아웃 가능성에 회의적인 시각을 내비쳤다.
손소현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대우조선해양이 세계 3위 조선사이고 최대주주가 산업은행인 점, 물량 부담이 있는 점 등을 감안하면 워크아웃 가능성은 낮은편"이라고 분석했다.
손 연구원은 "작년 연결 기준 4천711억원의 영업이익을 내 현대중공업[009540](-3조2천495억원), 삼성중공업[010140](1천830억원)과 대조를 이뤘는데 이는 그간 실제 회계에 적절한 부실 규모를 반영해 오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대우조선해양의 신용공여는 제1금융권이 22조원, 제2금융권이 2조원 규모로 파악됐다.
손 연구원은 "현재 대우조선해양의 총 회사채 발행잔액은 1조8천500억원으로 이중 5천억원의 만기가 올해 도래한다"며 "7월 만기 도래분 2천억원은 상환 가능성이크다"고 진단했다.
한편 대우조선해양의 최대주주인 KDB산업은행과 금융당국, 채권단에 따르면 대우조선해양의 올해 2분기 영업손실은 최대 3조원까지 불어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그동안 실적에 반영하지 않은 손실도 약 2조원 규모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hanajja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한국투자증권은 자율협약(채권단 공동관리) 채택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김기명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일반적으로 채권은행 입장에서는 부실 조선업체의 구조조정 방식을 채택하는 데 있어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를 선택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조선업체가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선수금지급보증(RG)을 선 금융기관이 환급보증을 이행해야 하는 경우가 생겨 금융기관의 피해가 막대해질 수 있고 신규 수주가 어려워져 부실 조선업체의 갱생에 심각한 장애요인이 될 수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채권단 자율협약은 일시적인 유동성 위기로 기업이 흑자 도산하는 것을 막고자채권단이 시행하는 기업 지원책으로, 워크아웃까지 갈 필요는 없으나 유동성 지원이필요한 기업이 주요 대상이다. 말 그대로 법적 구속력은 없다.
대신 기업과 채권단이 자율적으로 협약을 맺고 기업은 이 협약에 따라 구조조정을 실행하게 된다.
다만 채권금융기관 채권총액의 4분의 3 이상의 동의가 필요한 워크아웃과 달리자율협약은 채권단 100%의 동의가 필요하다.
김 연구원은 "STX조선해양이나 성동조선, SPP조선이 모두 자율협약 상태에서 구조조정 작업을 진행하는 것은 이 때문"이라며 "대우조선해양에 대해서도 채권은행이자율협약을 채택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이베스트투자증권도 워크아웃 가능성에 회의적인 시각을 내비쳤다.
손소현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대우조선해양이 세계 3위 조선사이고 최대주주가 산업은행인 점, 물량 부담이 있는 점 등을 감안하면 워크아웃 가능성은 낮은편"이라고 분석했다.
손 연구원은 "작년 연결 기준 4천711억원의 영업이익을 내 현대중공업[009540](-3조2천495억원), 삼성중공업[010140](1천830억원)과 대조를 이뤘는데 이는 그간 실제 회계에 적절한 부실 규모를 반영해 오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대우조선해양의 신용공여는 제1금융권이 22조원, 제2금융권이 2조원 규모로 파악됐다.
손 연구원은 "현재 대우조선해양의 총 회사채 발행잔액은 1조8천500억원으로 이중 5천억원의 만기가 올해 도래한다"며 "7월 만기 도래분 2천억원은 상환 가능성이크다"고 진단했다.
한편 대우조선해양의 최대주주인 KDB산업은행과 금융당국, 채권단에 따르면 대우조선해양의 올해 2분기 영업손실은 최대 3조원까지 불어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그동안 실적에 반영하지 않은 손실도 약 2조원 규모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hanajja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