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투자증권은 22일 삼성물산[028260]에 대해"삼성그룹 계열사 중에서 가장 안전한 투자처"라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30만원을 유지했다.
이상헌 연구원은 "삼성그룹 지배구조 변환의 대전제는 정점에 있는 삼성물산이지주회사가 돼 삼성전자 등 자회사 지분을 확보하는 것"이라며 "동시에 삼성생명 등금융계열사들도 지배하면서 삼성물산 최대주주인 이재용 부회장이 그룹 지배권을 견고히 하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이를 위한 사전 작업으로 삼성그룹은 2013년부터 전자와 생명을 양대 축으로 하는 전자계열사와 금융계열사의 수직계열화를 진행하면서 순환출자 고리를 해소하고 있다"면서 "비주력사 매각을 통한 그룹 사업부문의 구조조정도 단행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삼성물산이 삼성전자 지분을 늘리는 데 분명히 한계가 존재한다"며 "삼성전자가 인적분할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이 연구원은 "삼성전자를 지주부문과 시가총액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사업부문으로 인적분할하면 지주부문 가치가 상당 부분 줄어들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인적분할 이후 결국 삼성물산과 삼성전자 지주부문이 합병하면 삼성전자사업회사 지분을 비롯해 그룹 대부분의 회사 지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룹 지주회사로서 브랜드 사용료(로열티)뿐 아니라 배당 수익의 최대 수혜가 예상돼 삼성물산의 숨겨진 프리미엄 가치가 실현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hyunmin623@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이상헌 연구원은 "삼성그룹 지배구조 변환의 대전제는 정점에 있는 삼성물산이지주회사가 돼 삼성전자 등 자회사 지분을 확보하는 것"이라며 "동시에 삼성생명 등금융계열사들도 지배하면서 삼성물산 최대주주인 이재용 부회장이 그룹 지배권을 견고히 하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이를 위한 사전 작업으로 삼성그룹은 2013년부터 전자와 생명을 양대 축으로 하는 전자계열사와 금융계열사의 수직계열화를 진행하면서 순환출자 고리를 해소하고 있다"면서 "비주력사 매각을 통한 그룹 사업부문의 구조조정도 단행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삼성물산이 삼성전자 지분을 늘리는 데 분명히 한계가 존재한다"며 "삼성전자가 인적분할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이 연구원은 "삼성전자를 지주부문과 시가총액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사업부문으로 인적분할하면 지주부문 가치가 상당 부분 줄어들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인적분할 이후 결국 삼성물산과 삼성전자 지주부문이 합병하면 삼성전자사업회사 지분을 비롯해 그룹 대부분의 회사 지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룹 지주회사로서 브랜드 사용료(로열티)뿐 아니라 배당 수익의 최대 수혜가 예상돼 삼성물산의 숨겨진 프리미엄 가치가 실현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hyunmin623@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