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렉시트 국민투표 이후 가장 큰 문제가 생긴 자산은 영국 파운드화다.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 우려로 파운드화의 명목 가격은 35년 만에 최저로 급전직하했다. 하지만 영국 주가는 선전하고 있다.
영국 주가의 선전은 두 가지 고민을 던진다.
첫째는 브렉시트 결정이 영국보다 EU에 더 큰 타격을 주는 문제인가 하는 점이고, 둘째는 영국 주가의 차별적 강세는 지속 가능한가 하는 점이다.
브렉시트를 영국의 잘못된(혹은 이기적) 선택으로만 본다면 영국 주가의 차별적강세는 이해하기 어렵다.
하지만 문제를 EU에서 찾는다면 수긍이 된다.
EU 설계의 가장 큰 문제점은 형편이 다른 국가간 통화정책의 단일화다. EU 내단일 공동체인 유로존만 하더라도 통화정책을 유럽중앙은행(ECB)으로 단일화하다보니 개별 국가가 할 수 있는 경기 조절 정책은 재정밖에 없다.
그렉시트 당시 금융시장이 혼란에 빠지자 투자자들은 그리스를 비롯한 남부 유럽 국가의 방만한 재정과 느긋한 국민성에 야속해 했다.
알고 보면 유로존의 구조적 문제였는데 말이다.
브렉시트는 영국의 실제 탈퇴 여부와 무관하게 EU의 구조적 취약성을 흔들었다.
영국과 EU의 상황을 비교해 보자. 국민투표 결과가 나온 직후 영란은행은 4조8천억원 규모의 유동성을 시중은행에 공급했다.
또 영국 부동산 펀드 환매 중지 문제가 발생하자 은행 대출 여력을 즉각적으로확대했다. 매우 기민했다.
그런데 ECB는 브렉시트와 관련해 마리오 드라기 ECB 총재의 립서비스 외에 아직구체적 대응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그뿐인가. EU는 영국의 조속한 브렉시트를 촉구하면서도 이탈리아가 자국의 은행에 공적자금을 넣는 문제에도 제동을 걸고 있다.
EU의 룰에 어긋난다는 이유다. EU와 회원국 간 이해관계로 내부 갈등은 지속될것이다.
영국 주가의 차별적 강세는 영국의 부동산 가격이 급락하면 종료될 것이다.
브렉시트 국민투표 이후 금융시장이 빠르게 안정을 찾았던 이유는 당분간 정치이벤트에 그칠 것으로 봤기 때문이다.
그런데 영국 부동산 펀드들의 환매 중단이 우려의 범위를 금융과 실물로 확대했다.
2007년 미국 금융위기 때도 서브프라임 모기지 문제가 제기되면서 환매가 몰리자 해당 펀드들이 환매 중단을 선언한 바 있다.
하지만 미국의 금융위기와 영국의 부동산 가격 하락 위험은 본질이 다르다.
미국 금융위기는 부실 부동산의 무분별한 증권화에 있었다.
하지만 영국의 부동산 가격 문제는 브렉시트 현실화시 나타날 영국의 금융허브지위 상실과 외국자본의 이탈 문제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브렉시트 현실화를 가정한 시나리오다.
브렉시트 관련 부작용이 실물 시장으로 확산되는 징후가 커질수록 영국의 정치권도 이 부분을 해결하기 위한 정치적 선택을 할 가능성이 크다.
영국 부동산 펀드 환매 문제를 미국발 금융위기와 비교하는 것은 현 상황에서는비약이다.
(작성자: 이재훈 미래에셋증권[037620] 연구위원 jaehun.lee@miraeasset.com) ※ 이 글은 해당 증권사 애널리스트의 의견으로, 연합뉴스의 편집 방향과 무관함을 알려드립니다.
(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 우려로 파운드화의 명목 가격은 35년 만에 최저로 급전직하했다. 하지만 영국 주가는 선전하고 있다.
영국 주가의 선전은 두 가지 고민을 던진다.
첫째는 브렉시트 결정이 영국보다 EU에 더 큰 타격을 주는 문제인가 하는 점이고, 둘째는 영국 주가의 차별적 강세는 지속 가능한가 하는 점이다.
브렉시트를 영국의 잘못된(혹은 이기적) 선택으로만 본다면 영국 주가의 차별적강세는 이해하기 어렵다.
하지만 문제를 EU에서 찾는다면 수긍이 된다.
EU 설계의 가장 큰 문제점은 형편이 다른 국가간 통화정책의 단일화다. EU 내단일 공동체인 유로존만 하더라도 통화정책을 유럽중앙은행(ECB)으로 단일화하다보니 개별 국가가 할 수 있는 경기 조절 정책은 재정밖에 없다.
그렉시트 당시 금융시장이 혼란에 빠지자 투자자들은 그리스를 비롯한 남부 유럽 국가의 방만한 재정과 느긋한 국민성에 야속해 했다.
알고 보면 유로존의 구조적 문제였는데 말이다.
브렉시트는 영국의 실제 탈퇴 여부와 무관하게 EU의 구조적 취약성을 흔들었다.
영국과 EU의 상황을 비교해 보자. 국민투표 결과가 나온 직후 영란은행은 4조8천억원 규모의 유동성을 시중은행에 공급했다.
또 영국 부동산 펀드 환매 중지 문제가 발생하자 은행 대출 여력을 즉각적으로확대했다. 매우 기민했다.
그런데 ECB는 브렉시트와 관련해 마리오 드라기 ECB 총재의 립서비스 외에 아직구체적 대응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그뿐인가. EU는 영국의 조속한 브렉시트를 촉구하면서도 이탈리아가 자국의 은행에 공적자금을 넣는 문제에도 제동을 걸고 있다.
EU의 룰에 어긋난다는 이유다. EU와 회원국 간 이해관계로 내부 갈등은 지속될것이다.
영국 주가의 차별적 강세는 영국의 부동산 가격이 급락하면 종료될 것이다.
브렉시트 국민투표 이후 금융시장이 빠르게 안정을 찾았던 이유는 당분간 정치이벤트에 그칠 것으로 봤기 때문이다.
그런데 영국 부동산 펀드들의 환매 중단이 우려의 범위를 금융과 실물로 확대했다.
2007년 미국 금융위기 때도 서브프라임 모기지 문제가 제기되면서 환매가 몰리자 해당 펀드들이 환매 중단을 선언한 바 있다.
하지만 미국의 금융위기와 영국의 부동산 가격 하락 위험은 본질이 다르다.
미국 금융위기는 부실 부동산의 무분별한 증권화에 있었다.
하지만 영국의 부동산 가격 문제는 브렉시트 현실화시 나타날 영국의 금융허브지위 상실과 외국자본의 이탈 문제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브렉시트 현실화를 가정한 시나리오다.
브렉시트 관련 부작용이 실물 시장으로 확산되는 징후가 커질수록 영국의 정치권도 이 부분을 해결하기 위한 정치적 선택을 할 가능성이 크다.
영국 부동산 펀드 환매 문제를 미국발 금융위기와 비교하는 것은 현 상황에서는비약이다.
(작성자: 이재훈 미래에셋증권[037620] 연구위원 jaehun.lee@miraeasset.com) ※ 이 글은 해당 증권사 애널리스트의 의견으로, 연합뉴스의 편집 방향과 무관함을 알려드립니다.
(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