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원양자원 사태> '中 상장기업 잔혹史' 현재 진행형

입력 2016-07-17 05:21  

中 기업 리스크 재부각…한국거래소, 상장심사 강화 등 대책 모색

최근 중국계 상장사인 중국원양자원[900050]의허위 공시 후폭풍으로 시장에 '중국 기업 트라우마'가 재발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투자자들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2011년 1천억원대 분식회계로 상장 2개월 만에증시에서 퇴출된 '중국고섬 사태'의 악몽을 떠올리는 모습이다.

최근 조심스럽게 한국 증시 문을 두드리기 시작한 중국 기업들도 이번 사건으로불똥이 튈까 봐 노심초사하고 있다.

◇ "악몽의 연속"…중국 기업 18곳 중 7곳 상장 폐지 최근 코스피 상장기업인 중국원양자원은 수십억원대 소송을 당했다는 거짓 공시로 시장을 발칵 뒤집어 놓았다.

이 회사는 지난 4월 홍콩 업체로부터 대여금과 이자 74억원을 갚지 못해 소송을당했고 계열사 지분 30%가 가압류됐다고 공시했으나 거짓으로 드러난 것이다.

이 때문에 중국 상장사에 대한 한국 투자자들의 불신이 한층 깊어진 모습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007년 8월 3노드디지탈이 상장된 이후 지금까지 중국 기업 18곳이 국내 증시에 입성했지만 이 중 7곳이 상장 폐지돼 투자자들에게 큰 손실을 안겼다.

2011년 11월 자발적으로 상장 폐지를 선택한 코웰이홀딩스를 제외하고는 모두강제 퇴출됐다.

첫 번째로 퇴출당한 중국 상장사는 2012년 9월 한국 증시를 떠난 연합과기다.

연합과기는 회계법인으로부터 '감사의견 거절'을 받았고, 경영개선 기간을 부여받고도 상장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해 상장 폐지가 확정됐다.

한국인 투자자들의 중국 기업에 대한 신뢰가 결정적으로 무너진 계기는 중국 고섬 사태다.

2011년 1월 코스피에 상장된 고섬은 상장한 지 불과 2개월 만에 1천억원대 분식회계 사실이 들통 나는 바람에 거래가 정지됐다.

결국 고섬은 2013년 10월 퇴출당했고, 이로 인해 국내 투자자들은 2천억원에 달하는 손실을 떠안았다.

작년 11월에는 평산차업이 시가총액 미달 사유로 사망선고를 받았다.

이런 일이 반복되면서 국내 투자자들 사이에는 "중국 기업을 못 믿겠다"는 정서가 뿌리 박히게 됐다.

이 때문에 중국 기업의 상장은 2011년 6월 상장한 완리인터내셔널홀딩스를 끝으로 4년 넘게 명맥이 끊겼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고섬 사태의 기억이 채 지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중국원양자원이 또 문제를 일으킨 것"이라며 "조금씩 마음을 돌리려던 국내 투자자들이 완전히 돌아설까 봐 걱정된다"고 말했다.

◇ 한국증시 노크 중국기업 '울상'…"상장심사 & 관리·감독 강화해야" 올 들어 한국 증시 문을 다시 두드리고 있는 중국 기업들은 중국원양자원 사태의 불똥이 튈 것을 크게 우려하고 있다.

올해 1월 차이나크리스탈신소재홀딩스(크리스탈신소재) 상장을 시작으로 중국기업 여러 곳이 한국 증시 입성을 준비하고 있다.

크리스탈신소재[900250]는 최근 홈페이지에 '중국원양자원 사태와 관련하여'라는 제목의 공지를 올렸다.

이 회사는 "중국원양자원이 일으킨 문제로 인해 조금씩 마음을 열어 가던 국내투자자 여러분이 다시 돌아설까 우려된다"며 몸을 한껏 낮추면서 개별 기업의 문제를 전체 중국 기업의 문제로 받아들이지 말아 달라는 취지의 당부를 했다.

이달 말 코스닥 상장 예정이던 중국기업 헝셩그룹은 최근 상장 일정을 미루고는최대주주 명의의 '안심하고 투자하라'는 내용의 확약서를 보내오기도 했다.

현재 거래소에서 상장 심사를 받는 중국기업은 골든센추리, 그레이트리치테크놀로지, 오가닉티코스매틱스 등 3곳이다.

올해를 '외국 기업 상장 재개의 원년'으로 삼아 해외 기업 유치에 공을 들이던거래소도 중국원양자원 사태로 난감해하는 눈치다.

거래소는 중국원양자원 문제가 중국 업체 전반에 해당하는 게 아니라 개별 기업의 문제라며 애써 선을 긋고 있다.

최경수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중국원양자원은 일부 중국기업의 문제일 뿐"이라며 "일차적으로 주관사들이 관리해 줘야 하지만 우리도 같은 사태가 벌어지지 않도록 상장 단계부터 관리 감독에 더 신경을 쓰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잊을만하면 불거지는 중국 기업 리스크에 거래소와 금융당국의 관리·감독 능력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꼼꼼한 검증 과정을 통해 상장 심사단계에서 '불량 기업'을 걸러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자본시장실장은 "국내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은 중국현지 규제를 받기 때문에 어떤 문제가 발생했을 때 우리가 제재 부과 등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쉽지 않다"며 "상장 주선인(증권사)은 형식적인 실사에서 벗어나야 하고 관계기관들은 엄정한 사전 심사를 통해 게이트 키핑을 강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거래소 관계자는 "외국 기업의 경우 상장예비심사 청구 전에 사전 협의 절차를밟고 있고 예비심사도 국내 기업(45일)보다 긴 65일 동안이나 하는 등 까다롭게 하고 있다"며 "심사 제도와 절차 등을 한층 강화하는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sj9974@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