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들어 이머징 시장인 아시아의 자산시장이 주목받고 있다.
대규모 외국인 자금 매수세와 이에 따른 주식과 채권, 통화가치의 강세는 우리나라와 인도, 대만 등 아시아 국가 자산시장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현상이다.
무엇이 아시아 랠리의 원동력이 되고 있을까? 정책 모멘텀이 기저에 깔렸다고 본다.
금융위기 이후 금리 인하 및 자산매입 등 통화정책의 주도권은 온전히 선진국에있었다.
그러나 올해 들어 유럽과 일본의 통화정책 모멘텀은 낮아지고 있고 오히려 한국과 대만 등이 금리 인하를 시행했고 추가적인 통화 및 재정정책이 기대되는 나라들의 정책 모멘텀이 강화됐다.
글로벌 유력 투자은행 중 한 곳은 내년 한국의 정책금리가 0.5% 수준까지 낮춰질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현재보다 세 차례 더 추가 금리 인하를 단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맞물려 재정정책이 강하게 시행되면 한국의 부동산과 주식시장에 유동성랠리가 오지 말라는 법도 없다.
필자는 이런 정책 기대감과 이를 기반으로 한 글로벌 투자자금의 아시아 선호현상이 조금 더 지속될 수 있다고 본다.
이미 선진 채권시장 등 기존 주도적 시장의 모멘텀이 꺾인 상황에서 이만한 대안도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지속성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을 갖고 있다.
가장 걸리는 부분은 중국의 정책 발휘 여부다. 실제로 한국과 대만 등 주요 국가들이 정책 발휘에 나서고 있지만 가장 핵심 국가라 할 수 있는 중국은 최근 이렇다 할 정책을 내놓고 있지 않다.
중국이 아시아 정책 랠리에 동참하지 않으면 주변국의 정책만으로는 연료가 부족한 꼴이 될 것이다.
중국이 정책 발휘에 신중한 모습을 보이는 이유는 2008년 Ɗ조 위안'의 트라우마가 있기 때문이다.
2008년 금융위기에서 글로벌 자산시장이 빠르게 회복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중국의 4조 위안 부양책 등 강한 재정정책이 있었다.
그러나 당시 무리한 재정정책으로 인해 산업 수급 불균형, 은행권 부실 등의 여러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교훈을 배운 중국이 과연 선진국이나 국제통화기금(IMF)의 바람대로 다시금 대규모 정책 발휘에 나설 수 있을까? 결론적으로 최근 아시아 자산시장에 훈풍이 깃들고 있는 것은 고무적이나 그 효과는 오래 지속되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
올 하반기 정도까지만 주식과 채권의 업사이드를 열어 놓고 대응하되, 내년부터는 다시 보수적인 시각으로 돌아가는 것이 좋겠다.
(작성자: 박성현 삼성증권[016360] 연구원 sunghyun73.park@samsung.com) ※ 이 글은 해당 증권사 애널리스트(연구원)의 의견으로, 연합뉴스의 편집방향과는 무관함을 알려 드립니다.
(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대규모 외국인 자금 매수세와 이에 따른 주식과 채권, 통화가치의 강세는 우리나라와 인도, 대만 등 아시아 국가 자산시장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현상이다.
무엇이 아시아 랠리의 원동력이 되고 있을까? 정책 모멘텀이 기저에 깔렸다고 본다.
금융위기 이후 금리 인하 및 자산매입 등 통화정책의 주도권은 온전히 선진국에있었다.
그러나 올해 들어 유럽과 일본의 통화정책 모멘텀은 낮아지고 있고 오히려 한국과 대만 등이 금리 인하를 시행했고 추가적인 통화 및 재정정책이 기대되는 나라들의 정책 모멘텀이 강화됐다.
글로벌 유력 투자은행 중 한 곳은 내년 한국의 정책금리가 0.5% 수준까지 낮춰질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현재보다 세 차례 더 추가 금리 인하를 단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맞물려 재정정책이 강하게 시행되면 한국의 부동산과 주식시장에 유동성랠리가 오지 말라는 법도 없다.
필자는 이런 정책 기대감과 이를 기반으로 한 글로벌 투자자금의 아시아 선호현상이 조금 더 지속될 수 있다고 본다.
이미 선진 채권시장 등 기존 주도적 시장의 모멘텀이 꺾인 상황에서 이만한 대안도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지속성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을 갖고 있다.
가장 걸리는 부분은 중국의 정책 발휘 여부다. 실제로 한국과 대만 등 주요 국가들이 정책 발휘에 나서고 있지만 가장 핵심 국가라 할 수 있는 중국은 최근 이렇다 할 정책을 내놓고 있지 않다.
중국이 아시아 정책 랠리에 동참하지 않으면 주변국의 정책만으로는 연료가 부족한 꼴이 될 것이다.
중국이 정책 발휘에 신중한 모습을 보이는 이유는 2008년 Ɗ조 위안'의 트라우마가 있기 때문이다.
2008년 금융위기에서 글로벌 자산시장이 빠르게 회복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중국의 4조 위안 부양책 등 강한 재정정책이 있었다.
그러나 당시 무리한 재정정책으로 인해 산업 수급 불균형, 은행권 부실 등의 여러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교훈을 배운 중국이 과연 선진국이나 국제통화기금(IMF)의 바람대로 다시금 대규모 정책 발휘에 나설 수 있을까? 결론적으로 최근 아시아 자산시장에 훈풍이 깃들고 있는 것은 고무적이나 그 효과는 오래 지속되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
올 하반기 정도까지만 주식과 채권의 업사이드를 열어 놓고 대응하되, 내년부터는 다시 보수적인 시각으로 돌아가는 것이 좋겠다.
(작성자: 박성현 삼성증권[016360] 연구원 sunghyun73.park@samsung.com) ※ 이 글은 해당 증권사 애널리스트(연구원)의 의견으로, 연합뉴스의 편집방향과는 무관함을 알려 드립니다.
(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