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선전과 홍콩 증시 간의 교차거래가 가능해지는 선강퉁(深港通)이 연내 시행되는 쪽으로 가닥이 잡히면서 해외 주식에 관심이많은 국내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는 16일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선강퉁 실시방안이 비준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본격적인 거래 준비 절차를 거쳐 올 11∼12월 중으로 선강퉁 시대가본격 개막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이는 2014년 11월17일 후강퉁(상하이·홍콩 증시 간 교차거래)이 시행된 지 2년만이다.
선강퉁은 2003년 7월 적격외국인투자자(QFII), 2011년 7월 위안화 적격외국인투자자(RQFII), 2014년 11월 후강통 도입 이후 중국 정부가 취하는 4번째 증시 개방조치다.
전종규 삼성증권 중국투자 전략가는 "선강퉁 시행으로 중국 주식시장이 한 단계성숙할 계기를 마련했다"며 투자자들은 새로운 투자 기회를 얻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선강퉁이 열리면 중국인이 아닌 일반 개인투자자들도 홍콩 증시를 경유해 선전증시에 상장된 중국 본토 기업 주식을 자유롭게 매매할 수 있게 된다.
중국 증시는 홍콩, 상하이, 선전 등 3개 거래소 사이에 유기적인 거래 체제를구축하는 셈이 된다.
1991년 6개사로 출발한 선전 증시는 시가총액(3조1천600억 달러) 기준으로 세계7대 주식시장으로 성장했다.
시장은 메인보드, 중소판(中小板· SME Board), 창업판(創業版·ChiNext) 등 3개로 구성됐다.
이는 메인보드만 있는 상하이 증시와 구별되는 특징으로, 자본시장과 중소기업을 육성하고자 하는 중국 정부의 정책이 낳은 결과다.
선전 증시에 상장된 종목은 모두 1천790개로 상하이 증시(1천110개)보다 많다.
중후장대형 국유기업들이 주로 상장된 상하이 증시와는 달리 선전 증시는 민영기업·성장주·중소형주 중심으로 구성됐다.
주로 정보기술(IT)(20.7%), 산업재(19.7%), 경기소비재(16.2%), 소재(13.7%),금융(10.6%), 헬스케어(8.8%), 필수소비재(7.0%), 유틸리티(1.7%), 에너지(1.3%) 등중국의 신경제를 대표하는 다수의 기업이 상장돼 있다.
특히 창업판은 미국의 나스닥시장, 우리나라의 코스닥시장과 비슷하다.
후강퉁과 마찬가지로 해외 기관과 개인투자자가 모두 참여할 수 있는 선강퉁이가동되면 시가총액 60억 위안 이상 종목에 대해선 총액 쿼터 제한 없이 교차매매를할 수 있게 된다.
선강퉁으로 해외투자자들에게 문호가 열리는 종목은 880개 수준으로 추정된다.
이는 후강퉁 시행으로 상하이 증시에서 해외 기관과 개인투자자들이 매매할 수있는 종목(568개)보다 훨씬 많은 것으로, 그만큼 투자할 기회가 많아질 수 있다는얘기다.
박진 NH투자증권 해외상품부장은 "선전 증시는 우리나라의 코스닥시장과 비슷해신세대 정보기술(IT), 바이오, 첨단제조업(반도체 포함) 신에너지, 신소재, 신에너지 자동차(전기차) 등 신기술 산업 기업들이 주로 상장돼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일 수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선전 증시는 주가수익비율(PER)이 상하이 증시(14∼15배)의 3배가넘는 50배에 달하기 때문에 투자위험도 큰 편"이라며 지나친 낙관은 경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특히 신기술 기업이 몰려 있는 창업판은 적자 기업도 상장할 수 있는 데다가 PER가 72.7배에 달할 정도로 고평가된 상태여서 한층 더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삼성증권은 "선강퉁이 시행되면 단기적인 기대심리로 선전과 상하이 증시가 함께 유동성 랠리를 보일 수 있다"며 "선전 증시에 상장된 성장주에 대한 밸류에이션(가치평가)이 이미 높은 만큼 중장기 성장 모멘텀이 강한 종목 중심의 옥석 가리기가중요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NH투자증권은 선강퉁 도입에 따른 대표적인 수혜 종목으로 세계적인 전기차업체인 BYD, 중국 1위 영화배급업체인 완다시네마, 애니메이션 기업인 알파애니메이션등을 제시했다.
indigo@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는 16일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선강퉁 실시방안이 비준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본격적인 거래 준비 절차를 거쳐 올 11∼12월 중으로 선강퉁 시대가본격 개막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이는 2014년 11월17일 후강퉁(상하이·홍콩 증시 간 교차거래)이 시행된 지 2년만이다.
선강퉁은 2003년 7월 적격외국인투자자(QFII), 2011년 7월 위안화 적격외국인투자자(RQFII), 2014년 11월 후강통 도입 이후 중국 정부가 취하는 4번째 증시 개방조치다.
전종규 삼성증권 중국투자 전략가는 "선강퉁 시행으로 중국 주식시장이 한 단계성숙할 계기를 마련했다"며 투자자들은 새로운 투자 기회를 얻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선강퉁이 열리면 중국인이 아닌 일반 개인투자자들도 홍콩 증시를 경유해 선전증시에 상장된 중국 본토 기업 주식을 자유롭게 매매할 수 있게 된다.
중국 증시는 홍콩, 상하이, 선전 등 3개 거래소 사이에 유기적인 거래 체제를구축하는 셈이 된다.
1991년 6개사로 출발한 선전 증시는 시가총액(3조1천600억 달러) 기준으로 세계7대 주식시장으로 성장했다.
시장은 메인보드, 중소판(中小板· SME Board), 창업판(創業版·ChiNext) 등 3개로 구성됐다.
이는 메인보드만 있는 상하이 증시와 구별되는 특징으로, 자본시장과 중소기업을 육성하고자 하는 중국 정부의 정책이 낳은 결과다.
선전 증시에 상장된 종목은 모두 1천790개로 상하이 증시(1천110개)보다 많다.
중후장대형 국유기업들이 주로 상장된 상하이 증시와는 달리 선전 증시는 민영기업·성장주·중소형주 중심으로 구성됐다.
주로 정보기술(IT)(20.7%), 산업재(19.7%), 경기소비재(16.2%), 소재(13.7%),금융(10.6%), 헬스케어(8.8%), 필수소비재(7.0%), 유틸리티(1.7%), 에너지(1.3%) 등중국의 신경제를 대표하는 다수의 기업이 상장돼 있다.
특히 창업판은 미국의 나스닥시장, 우리나라의 코스닥시장과 비슷하다.
후강퉁과 마찬가지로 해외 기관과 개인투자자가 모두 참여할 수 있는 선강퉁이가동되면 시가총액 60억 위안 이상 종목에 대해선 총액 쿼터 제한 없이 교차매매를할 수 있게 된다.
선강퉁으로 해외투자자들에게 문호가 열리는 종목은 880개 수준으로 추정된다.
이는 후강퉁 시행으로 상하이 증시에서 해외 기관과 개인투자자들이 매매할 수있는 종목(568개)보다 훨씬 많은 것으로, 그만큼 투자할 기회가 많아질 수 있다는얘기다.
박진 NH투자증권 해외상품부장은 "선전 증시는 우리나라의 코스닥시장과 비슷해신세대 정보기술(IT), 바이오, 첨단제조업(반도체 포함) 신에너지, 신소재, 신에너지 자동차(전기차) 등 신기술 산업 기업들이 주로 상장돼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일 수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선전 증시는 주가수익비율(PER)이 상하이 증시(14∼15배)의 3배가넘는 50배에 달하기 때문에 투자위험도 큰 편"이라며 지나친 낙관은 경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특히 신기술 기업이 몰려 있는 창업판은 적자 기업도 상장할 수 있는 데다가 PER가 72.7배에 달할 정도로 고평가된 상태여서 한층 더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삼성증권은 "선강퉁이 시행되면 단기적인 기대심리로 선전과 상하이 증시가 함께 유동성 랠리를 보일 수 있다"며 "선전 증시에 상장된 성장주에 대한 밸류에이션(가치평가)이 이미 높은 만큼 중장기 성장 모멘텀이 강한 종목 중심의 옥석 가리기가중요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NH투자증권은 선강퉁 도입에 따른 대표적인 수혜 종목으로 세계적인 전기차업체인 BYD, 중국 1위 영화배급업체인 완다시네마, 애니메이션 기업인 알파애니메이션등을 제시했다.
indigo@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