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 기술을 도입해 핵연료를 생산한 지 25년만에 순수 국내 기술로 핵연료가 개발됐다.
한전원자력연료는 2005년부터 국가 전략과제로 추진해 온 고성능 고유 핵연료인HIPER 16과 HIPER 17 개발에 성공했다고 4일 밝혔다.
HIPER 16은 한국 표준형 원전에 들어가는 핵연료이며, HIPER 17은 미국 원자력전문업체 웨스팅하우스형 원전에 사용되는 연료이다.
그동안 핵연료는 웨스팅하우스와 공동으로 개발해왔기 때문에 수출을 위해서는미국의 허가를 받아야 했지만, 이번에 독자 기술소유권을 확보함으로써 해외 수출에도 제약이 없어질 전망이다.
HIPER 16과 HIPER 17은 4년6개월 동안 기계적 특성 시험과 원자로 내 실제 연소시험을 마친 뒤 각각 2017년과 2018년에 상용화돼 국내 원전에 공급될 예정이다.
원자력연료는 또 2010년 개발한 원자력 발전소 건설의 핵심기술인 노심설계 코드에 대해 최근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인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노심설계 코드는 원자로 속의 우라늄이 중성자에 의해 핵분열을 일으킬 때 원자로 내의 상태를 예측해내는 소프트웨어로서, 핵연료 장전량, 장전 위치, 교체시기등을 계산하는 등 원전 설계 및 운전을 위해 필요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수입된 코드들에 비해 최신의 계산 방법을 택해 정확한 계산이 가능하며, 지금까지 사용해오던 노심설계에 필요한 350여개의 설계코드를 40여개로 줄임으로써 효율성을 높였다고 원자력연료는 설명했다.
앞으로 한국형 신형원전(APR1400)의 교체노심 설계와 내년 초부터 시작될 아랍에미리트(UAE) 원전 기술 전수에 적용될 예정이다.
세계적으로 자체 설계 핵심코드를 보유한 업체는 미국 웨스팅하우스와 프랑스아레바 등 두 곳에 불과하다.
한전원자력연료 김기학 사장은 "고유 핵연료 2종을 개발한데 이어, 고유 노심설계코드에 대해 인허가를 획득함에 따라 핵연료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원천기술을 모두 확보하게 됐다"면서 "국산 핵연료의 해외 시장 경쟁력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한전원자력연료는 2005년부터 국가 전략과제로 추진해 온 고성능 고유 핵연료인HIPER 16과 HIPER 17 개발에 성공했다고 4일 밝혔다.
HIPER 16은 한국 표준형 원전에 들어가는 핵연료이며, HIPER 17은 미국 원자력전문업체 웨스팅하우스형 원전에 사용되는 연료이다.
그동안 핵연료는 웨스팅하우스와 공동으로 개발해왔기 때문에 수출을 위해서는미국의 허가를 받아야 했지만, 이번에 독자 기술소유권을 확보함으로써 해외 수출에도 제약이 없어질 전망이다.
HIPER 16과 HIPER 17은 4년6개월 동안 기계적 특성 시험과 원자로 내 실제 연소시험을 마친 뒤 각각 2017년과 2018년에 상용화돼 국내 원전에 공급될 예정이다.
원자력연료는 또 2010년 개발한 원자력 발전소 건설의 핵심기술인 노심설계 코드에 대해 최근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인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노심설계 코드는 원자로 속의 우라늄이 중성자에 의해 핵분열을 일으킬 때 원자로 내의 상태를 예측해내는 소프트웨어로서, 핵연료 장전량, 장전 위치, 교체시기등을 계산하는 등 원전 설계 및 운전을 위해 필요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수입된 코드들에 비해 최신의 계산 방법을 택해 정확한 계산이 가능하며, 지금까지 사용해오던 노심설계에 필요한 350여개의 설계코드를 40여개로 줄임으로써 효율성을 높였다고 원자력연료는 설명했다.
앞으로 한국형 신형원전(APR1400)의 교체노심 설계와 내년 초부터 시작될 아랍에미리트(UAE) 원전 기술 전수에 적용될 예정이다.
세계적으로 자체 설계 핵심코드를 보유한 업체는 미국 웨스팅하우스와 프랑스아레바 등 두 곳에 불과하다.
한전원자력연료 김기학 사장은 "고유 핵연료 2종을 개발한데 이어, 고유 노심설계코드에 대해 인허가를 획득함에 따라 핵연료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원천기술을 모두 확보하게 됐다"면서 "국산 핵연료의 해외 시장 경쟁력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