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한의학연구원은 최선미 박사팀과 동국대 일산한방병원, 동신대 광주한방병원 등 공동 연구팀이 임상실험을 통해 침 치료가 안구건조증을 완화시켜준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팀은 150명의 환자를 침 치료군과 인공눈물 대조군으로 나눠, 치료군에 대해서는 찬죽, 양백, 사죽공, 태양, 승읍, 풍지, 합곡, 곡지와 상성 등 총 9가지 혈에 대해 4주 동안 일주일에 세차례에 걸쳐 침 치료를 실시했다.
인공눈물 대조군도 같은 기간 하루 한차례 이상 인공눈물을 사용했다.
실험 결과 눈물막 파괴시간 검사(눈물막이 안구 표면에 머무르는 시간을 통해안구건조증을 진단하는 검사)에서 침 치료군의 증상이 10% 가량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공눈물을 넣은 대조군은 2% 정도 증상이 악화됐다.
치료가 끝나고 8주 뒤에 안구표면 질환지수(안구 증상을 점수화한 검사)를 검사한 결과 침 치료군이 32%, 대조군이 20% 정도 호전됐으며, 시각적 통증 강도 비율척도 검사(환자의 통증 측정 검사)에서는 치료군이 36%, 대조군은 22% 정도 나아졌다.
기존 안구건조증 치료방법으로 인공눈물, 염증 치료, 수술 등이 쓰이고 있으나부작용이 발생하거나 증상이 재발할 우려가 있었다.
최 박사는 "인공눈물은 치료기간에는 건성안 증상 개선에 어느정도 효과를 보이지만, 사용하지 않으면서부터는 치료 효과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침 치료는 치료가 끝난 뒤에도 개선 효과가 유지되며 부작용도 없어 근본적인 치료법이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연구팀은 150명의 환자를 침 치료군과 인공눈물 대조군으로 나눠, 치료군에 대해서는 찬죽, 양백, 사죽공, 태양, 승읍, 풍지, 합곡, 곡지와 상성 등 총 9가지 혈에 대해 4주 동안 일주일에 세차례에 걸쳐 침 치료를 실시했다.
인공눈물 대조군도 같은 기간 하루 한차례 이상 인공눈물을 사용했다.
실험 결과 눈물막 파괴시간 검사(눈물막이 안구 표면에 머무르는 시간을 통해안구건조증을 진단하는 검사)에서 침 치료군의 증상이 10% 가량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공눈물을 넣은 대조군은 2% 정도 증상이 악화됐다.
치료가 끝나고 8주 뒤에 안구표면 질환지수(안구 증상을 점수화한 검사)를 검사한 결과 침 치료군이 32%, 대조군이 20% 정도 호전됐으며, 시각적 통증 강도 비율척도 검사(환자의 통증 측정 검사)에서는 치료군이 36%, 대조군은 22% 정도 나아졌다.
기존 안구건조증 치료방법으로 인공눈물, 염증 치료, 수술 등이 쓰이고 있으나부작용이 발생하거나 증상이 재발할 우려가 있었다.
최 박사는 "인공눈물은 치료기간에는 건성안 증상 개선에 어느정도 효과를 보이지만, 사용하지 않으면서부터는 치료 효과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침 치료는 치료가 끝난 뒤에도 개선 효과가 유지되며 부작용도 없어 근본적인 치료법이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