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 거점지구 부지매입비 일부인 300억원이 올해 첫 추경에 반영됐지만, 지역 시민단체는 달갑지 않다는 반응이다.
당초 상임위에서 상정했던 부지매입비 700억원 가운데 400억원을 삭감했기 때문인데, 정부가 과학벨트 사업 규모를 축소하려는 움직임까지 보이자 우려의 목소리를내고 있다.
대전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8일 오전 시청 북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과학벨트 사업의 정상추진에 대한 우려가 현실이 되고 있다"면서 "과학벨트 초석을 다졌다는 기대감보다는 정부의 부지매입비에 대한 대전시 분담요구와 규모 축소로 사업의 좌초가 예상된다"고 역설했다.
이 단체는 "부지매입비 일부가 본회의에서 통과됐지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가 편성한 700억 가운데 400억원이 삭감된데다 '유관 기관과 조속히 해결한다'는 애매한 조건까지 달았다"면서 "결국 부지매입비의 대전시 분담을 요구하겠다는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과학벨트 사업에 대한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에서도 핵심시설인 기초과학연구원(IBS)의 용지 면적을 절반 이하로 축소하고, 사업 완료 기간도 4년 늦추겠다는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면서 "이 같은 사태를 초래한 원인은 지역 정치권의역할 부재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 단체는 "박근혜 대통령은 과학벨트 부지매입비의 대전시 분담 요구를 즉각철회하고, 대선 국면에서 약속한 과학벨트 정상추진 약속을 지키라"고 요구했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당초 상임위에서 상정했던 부지매입비 700억원 가운데 400억원을 삭감했기 때문인데, 정부가 과학벨트 사업 규모를 축소하려는 움직임까지 보이자 우려의 목소리를내고 있다.
대전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8일 오전 시청 북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과학벨트 사업의 정상추진에 대한 우려가 현실이 되고 있다"면서 "과학벨트 초석을 다졌다는 기대감보다는 정부의 부지매입비에 대한 대전시 분담요구와 규모 축소로 사업의 좌초가 예상된다"고 역설했다.
이 단체는 "부지매입비 일부가 본회의에서 통과됐지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가 편성한 700억 가운데 400억원이 삭감된데다 '유관 기관과 조속히 해결한다'는 애매한 조건까지 달았다"면서 "결국 부지매입비의 대전시 분담을 요구하겠다는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과학벨트 사업에 대한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에서도 핵심시설인 기초과학연구원(IBS)의 용지 면적을 절반 이하로 축소하고, 사업 완료 기간도 4년 늦추겠다는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면서 "이 같은 사태를 초래한 원인은 지역 정치권의역할 부재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 단체는 "박근혜 대통령은 과학벨트 부지매입비의 대전시 분담 요구를 즉각철회하고, 대선 국면에서 약속한 과학벨트 정상추진 약속을 지키라"고 요구했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