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 하이드레이트 생성 억제제인 메탄올이 오히려 가스 하이드레이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KAIST(한국과학기술원)는 해양시스템공학전공 서유택 교수와 신규철 박사가 공동으로 메탄올이 조건에 따라 하이드레이트 형성의 촉매 역할을 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23일 밝혔다.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고압, 저온의 조건에서 가스와 물이 결합해 얼음 형태로존재하는 고체화합물이다. 원유나 천연가스를 바다에서 끌어올릴 때 송유관이 막히는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송유관 내 원유에 메탄올을 20~30% 정도 주입해 가스 하이드레이트를 제거하게 된다.
연구팀이 원유 대비 메탄올의 주입 비율을 바꿔가며 가스 하이드레이트의 억제효과를 실험한 결과, 메탄올이 원유의 5~20% 만 주입되면 오히려 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형성 속도를 급격히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탄올의 비율이 줄어들면 메탄 등 다른 가스들이 물과 쉽게 결합해 하이드레이트가 발생하게 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실제 2006년 멕시코 만에서 운영 중이던 유전에서 메탄올 주입량이 20% 미만으로 떨어지면서 파이프라인이 막혀 원유 생산이 중단되는 사고가 일어났지만, 이유는밝혀지지 않았다.
세계 최초로 가스 하이드레이트 사고에 대한 과학적 원인을 규명함으로써 산업계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 21일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 Proceedings of the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에 실렸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KAIST(한국과학기술원)는 해양시스템공학전공 서유택 교수와 신규철 박사가 공동으로 메탄올이 조건에 따라 하이드레이트 형성의 촉매 역할을 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23일 밝혔다.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고압, 저온의 조건에서 가스와 물이 결합해 얼음 형태로존재하는 고체화합물이다. 원유나 천연가스를 바다에서 끌어올릴 때 송유관이 막히는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송유관 내 원유에 메탄올을 20~30% 정도 주입해 가스 하이드레이트를 제거하게 된다.
연구팀이 원유 대비 메탄올의 주입 비율을 바꿔가며 가스 하이드레이트의 억제효과를 실험한 결과, 메탄올이 원유의 5~20% 만 주입되면 오히려 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형성 속도를 급격히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탄올의 비율이 줄어들면 메탄 등 다른 가스들이 물과 쉽게 결합해 하이드레이트가 발생하게 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실제 2006년 멕시코 만에서 운영 중이던 유전에서 메탄올 주입량이 20% 미만으로 떨어지면서 파이프라인이 막혀 원유 생산이 중단되는 사고가 일어났지만, 이유는밝혀지지 않았다.
세계 최초로 가스 하이드레이트 사고에 대한 과학적 원인을 규명함으로써 산업계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 21일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 Proceedings of the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에 실렸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