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과학기술계 '찬성' vs 민주·시민단체 '반대'
미래창조과학부가 대전 엑스포과학공원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 핵심 시설인 기초과학연구원(IBS) 입주를 추진하면서 불거진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여당과 과학기술계는 미래부 제안에 "대전시와 정부가 윈윈할 수 있는 좋은 안"이라며 반기고 있는 반면, 야당과 시민사회단체는 대국민 사기극"이라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미래부는 지난 8일 엑스포공원에 IBS와 과학체험 및 전시공간 등 창조경제 핵심시설을 한 데 모아 조성하겠다는 입장을 대전시에 공식 제안했다. 대신 IBS 조성 예정지인 유성구 둔곡지구(178만2천㎡)는 산업단지로 개발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IBS는 정부가 기초과학 진흥을 통한 신성장 동력 창출을 위해 2017년까지 추진하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 조성사업의 핵심 시설이다.
새누리당 충청권 국회의원 모임은 12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과학벨트 관련 긴급현안 간담회를 열고 미래부가 대전시에 제안한 안에 대한 찬성 입장을 공식적으로밝혔다.
특히 이들은 "정부가 확실한 의지를 갖고 사업 추진에 나서면 대전의 발전과 대한민국의 신성장 동력 창출 등 두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고 의견을 모은 뒤 사사건건 발목잡기와 정치 공세로 일관하는 야당 공세에도 강력 대처해 나가기로 결의했다.
충청권 의원 모임 간사인 이장우 의원은 "대전시와 미래부가 합의해 할 세부 항목이 있는데, 시가 유리하게 협상할 수 있도록 의원들도 적극 돕겠다"고 약속했다.
대덕연구개발특구 내 정부출연 연구기관 등에 근무하는 과학기술인들도 이날 시청에서 열린 대전시과학기술위원회 임시회에 참석, "미래부 제안을 환영한다"며 정부안 즉각 수용을 시에 주문하기도 했다.
하지만 민주당은 "미래부 제안은 과학벨트 사업을 반토막내려는 불순한 의도에서 비롯된 대국민 사기극"이라며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이상민 민주당 대전시당 위원장과 권선택 전 국회의원, 지역위원장, 시의원 등은 이날 민주당 대전시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미래부의 제안은 과학벨트의 당초계획을 무시한 수정안"이라며 "특히 미래부가 시민 공간인 엑스포공원을 무상으로요구하는 것은 '슈퍼 갑의 횡포'"라고 주장했다.
민주당은 "우리는 박근혜 정부의 과학벨트 반토막 시도를 '제2의 세종시 수정안사태'로 규정하고 원안 사수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대전지역 진보성향 12개 시민단체 모임인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도 이날 성명을내고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대선에서 정상 추진을 약속했던 과학벨트 사업을 전면수정하려는 움직임이 드러났다"며 "대전시와 미래부는 과학벨트 관련 논의 내용을전면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이 단체는 "IBS가 엑스포공원으로 들어오면 논란이 됐던 과학벨트 부지 매입비를 대전시가 분담하는 모양새가 된다"며 "이는 국책사업인 과학벨트 부지 매입비 전액 국고부담 원칙에 위배된다"고 지적했다.
sw21@yna.co.kr youngs@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미래창조과학부가 대전 엑스포과학공원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 핵심 시설인 기초과학연구원(IBS) 입주를 추진하면서 불거진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여당과 과학기술계는 미래부 제안에 "대전시와 정부가 윈윈할 수 있는 좋은 안"이라며 반기고 있는 반면, 야당과 시민사회단체는 대국민 사기극"이라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미래부는 지난 8일 엑스포공원에 IBS와 과학체험 및 전시공간 등 창조경제 핵심시설을 한 데 모아 조성하겠다는 입장을 대전시에 공식 제안했다. 대신 IBS 조성 예정지인 유성구 둔곡지구(178만2천㎡)는 산업단지로 개발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IBS는 정부가 기초과학 진흥을 통한 신성장 동력 창출을 위해 2017년까지 추진하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 조성사업의 핵심 시설이다.
새누리당 충청권 국회의원 모임은 12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과학벨트 관련 긴급현안 간담회를 열고 미래부가 대전시에 제안한 안에 대한 찬성 입장을 공식적으로밝혔다.
특히 이들은 "정부가 확실한 의지를 갖고 사업 추진에 나서면 대전의 발전과 대한민국의 신성장 동력 창출 등 두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고 의견을 모은 뒤 사사건건 발목잡기와 정치 공세로 일관하는 야당 공세에도 강력 대처해 나가기로 결의했다.
충청권 의원 모임 간사인 이장우 의원은 "대전시와 미래부가 합의해 할 세부 항목이 있는데, 시가 유리하게 협상할 수 있도록 의원들도 적극 돕겠다"고 약속했다.
대덕연구개발특구 내 정부출연 연구기관 등에 근무하는 과학기술인들도 이날 시청에서 열린 대전시과학기술위원회 임시회에 참석, "미래부 제안을 환영한다"며 정부안 즉각 수용을 시에 주문하기도 했다.
하지만 민주당은 "미래부 제안은 과학벨트 사업을 반토막내려는 불순한 의도에서 비롯된 대국민 사기극"이라며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이상민 민주당 대전시당 위원장과 권선택 전 국회의원, 지역위원장, 시의원 등은 이날 민주당 대전시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미래부의 제안은 과학벨트의 당초계획을 무시한 수정안"이라며 "특히 미래부가 시민 공간인 엑스포공원을 무상으로요구하는 것은 '슈퍼 갑의 횡포'"라고 주장했다.
민주당은 "우리는 박근혜 정부의 과학벨트 반토막 시도를 '제2의 세종시 수정안사태'로 규정하고 원안 사수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대전지역 진보성향 12개 시민단체 모임인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도 이날 성명을내고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대선에서 정상 추진을 약속했던 과학벨트 사업을 전면수정하려는 움직임이 드러났다"며 "대전시와 미래부는 과학벨트 관련 논의 내용을전면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이 단체는 "IBS가 엑스포공원으로 들어오면 논란이 됐던 과학벨트 부지 매입비를 대전시가 분담하는 모양새가 된다"며 "이는 국책사업인 과학벨트 부지 매입비 전액 국고부담 원칙에 위배된다"고 지적했다.
sw21@yna.co.kr youngs@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