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천문연구원은 오는 23일(음력 5월15일) 올해 들어 가장 크게 보이는 보름달이 뜬다고 19일 밝혔다.
보름달은 이날 오후 7시 37분 떠올라 8시 32분께 지구에 가장 가까워진다.
반대로 가장 작게 보이는 보름달은 오는 12월 17일에 뜨며, 이때 두 달의 크기는 13% 정도 차이가 난다.
지구 상에서 달의 크기가 다르게 보이는 이유는 달이 지구 주위를 타원 궤도로공전하기 때문인데,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달이 커 보인다.
오는 23일 오후 8시 32분께 지구와 달의 거리는 약 35만7천205㎞로, 지구와 달의 평균 거리보다 3만㎞ 정도 가까워진다.
반대로 오는 12월 17일 오후 6시 28분에는 40만3천187㎞로, 평균 거리보다 2만㎞ 정도 멀어지게 된다고 천문연은 설명했다.
최영준 천문연구원 박사는 "달이 지구와 가까워지면 조석간만의 차가 평소보다커지지만 지진이나 해일 등 자연 재해는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보름달은 이날 오후 7시 37분 떠올라 8시 32분께 지구에 가장 가까워진다.
반대로 가장 작게 보이는 보름달은 오는 12월 17일에 뜨며, 이때 두 달의 크기는 13% 정도 차이가 난다.
지구 상에서 달의 크기가 다르게 보이는 이유는 달이 지구 주위를 타원 궤도로공전하기 때문인데,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달이 커 보인다.
오는 23일 오후 8시 32분께 지구와 달의 거리는 약 35만7천205㎞로, 지구와 달의 평균 거리보다 3만㎞ 정도 가까워진다.
반대로 오는 12월 17일 오후 6시 28분에는 40만3천187㎞로, 평균 거리보다 2만㎞ 정도 멀어지게 된다고 천문연은 설명했다.
최영준 천문연구원 박사는 "달이 지구와 가까워지면 조석간만의 차가 평소보다커지지만 지진이나 해일 등 자연 재해는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