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천문연구원은 이창원 박사 연구팀이 지구로부터 600광년 떨어진 '아기갈색왜성' 천체의 생성 원리를 규명했다고 6일 밝혔다.
이 박사팀은 2009년 NASA의 스피처 적외선우주망원경을 이용해 아기갈색왜성을관측, 'L328-IRS'으로 명명했다.
연구팀은 이번에 KVN(한국우주전파관측망)을 통해 아기갈색왜성이 일반 별처럼가스 수축을 일으켜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기존 이론은 갈색왜성이 일반 별과 달리 가스 수축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미숙아 별로 남게 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태양 정도 무게의 별은 큰 가스덩어리가 중력 수축을 일으켜 작은 가스덩어리로나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지만, 갈색왜성은 주변에 있는 무거운 별들의 중력이나강한 빛 때문에 가스덩어리를 만들지 못하고 날려 보내진다는 것.
연구팀은 갈색왜성을 둘러싼 가스덩어리에서 일반 별들의 생성과정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중력 수축에 의해 쪼개지며 두 방향으로 가스 분출을 하는 현상을 관측했다.
갈색왜성은 핵융합 반응을 일으킬 수 있을 정도의 질량을 갖지 못해 별로 진화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이창원 박사는 "태양 무게의 8% 정도는 돼야 핵융합 반응을 일으켜 별로 성장할수 있다"면서 "이번 연구를 통해 아기갈색왜성도 별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원리로생겨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말했다.
미국 하버드-스미소니언 연구소와 일본의 국립천문대 팀과의 국제공동연구로 이뤄진 이번 연구 결과는 천체물리학회지(The Astrophysical Journal) 이번 달 호에실렸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이 박사팀은 2009년 NASA의 스피처 적외선우주망원경을 이용해 아기갈색왜성을관측, 'L328-IRS'으로 명명했다.
연구팀은 이번에 KVN(한국우주전파관측망)을 통해 아기갈색왜성이 일반 별처럼가스 수축을 일으켜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기존 이론은 갈색왜성이 일반 별과 달리 가스 수축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미숙아 별로 남게 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태양 정도 무게의 별은 큰 가스덩어리가 중력 수축을 일으켜 작은 가스덩어리로나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지만, 갈색왜성은 주변에 있는 무거운 별들의 중력이나강한 빛 때문에 가스덩어리를 만들지 못하고 날려 보내진다는 것.
연구팀은 갈색왜성을 둘러싼 가스덩어리에서 일반 별들의 생성과정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중력 수축에 의해 쪼개지며 두 방향으로 가스 분출을 하는 현상을 관측했다.
갈색왜성은 핵융합 반응을 일으킬 수 있을 정도의 질량을 갖지 못해 별로 진화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이창원 박사는 "태양 무게의 8% 정도는 돼야 핵융합 반응을 일으켜 별로 성장할수 있다"면서 "이번 연구를 통해 아기갈색왜성도 별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원리로생겨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말했다.
미국 하버드-스미소니언 연구소와 일본의 국립천문대 팀과의 국제공동연구로 이뤄진 이번 연구 결과는 천체물리학회지(The Astrophysical Journal) 이번 달 호에실렸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