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표준시계보다 30배 더 정확한 '광격자 시계'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미국, 일본에 이어 세 번째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1억년에 1초의 오차를 갖는 '이터븀(Yb)' 원자로 만든 광격자 시계를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광격자 시계는 광시계의 일종으로, 레이저 빛을 이용해 원자를 포획해 격자 모양(광격자)에 갇히게 한 뒤 원자 진동수를 측정하게 된다.
기체 상태로 떠다니는 원자를 고정해 측정하기 때문에 세슘 원자시계보다 정확한 주파수를 측정할 수 있다.
현재의 1초는 세슘 원자의 진동수와 주파수가 같은 마이크로파를 쏘여 나오는신호값인 91억9천263만1천770번으로 정해져 있다.
이번에 개발된 광격자 시계에 사용된 이터븀 원자는 1초당 518조2천958억3천659만865번 진동한다. 이는 세슘 원자보다 5만6천배 이상 빠른 것이다.
진동수가 커짐에 따라 오차가 줄어들어 광격자 시계의 오차는 1억년에 0.91초(1초)로 측정됐다.
이는 표준시를 만들 때 사용되는 상용 원자시계의 오차인 300만년에 1초보다 30배 더 정확한 수치이다.
GPS의 정확도 향상, 우주항법 운용, 인터넷 통신망 성능 향상 등에 활용될 수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대혁 표준연 시간센터장은 "광격자 시계를 통해 1초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내릴 수 있을 것"이라며 "광격자 시계의 오차범위를 더 줄여 국제 사회의 인정을 받을수 있는 국제 표준으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미국, 일본에 이어 세 번째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1억년에 1초의 오차를 갖는 '이터븀(Yb)' 원자로 만든 광격자 시계를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광격자 시계는 광시계의 일종으로, 레이저 빛을 이용해 원자를 포획해 격자 모양(광격자)에 갇히게 한 뒤 원자 진동수를 측정하게 된다.
기체 상태로 떠다니는 원자를 고정해 측정하기 때문에 세슘 원자시계보다 정확한 주파수를 측정할 수 있다.
현재의 1초는 세슘 원자의 진동수와 주파수가 같은 마이크로파를 쏘여 나오는신호값인 91억9천263만1천770번으로 정해져 있다.
이번에 개발된 광격자 시계에 사용된 이터븀 원자는 1초당 518조2천958억3천659만865번 진동한다. 이는 세슘 원자보다 5만6천배 이상 빠른 것이다.
진동수가 커짐에 따라 오차가 줄어들어 광격자 시계의 오차는 1억년에 0.91초(1초)로 측정됐다.
이는 표준시를 만들 때 사용되는 상용 원자시계의 오차인 300만년에 1초보다 30배 더 정확한 수치이다.
GPS의 정확도 향상, 우주항법 운용, 인터넷 통신망 성능 향상 등에 활용될 수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대혁 표준연 시간센터장은 "광격자 시계를 통해 1초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내릴 수 있을 것"이라며 "광격자 시계의 오차범위를 더 줄여 국제 사회의 인정을 받을수 있는 국제 표준으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