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창조경제협의회는 기업 성장 지원을 위한 5개 규제개선안을 마련, 정부에 건의했다고 8일 밝혔다.
규제개선안은 ▲ 한밭대·목원대·대전대 등 지역 3개 대학의 대덕연구개발특구(대덕특구) 편입 및 대덕산업단지의 대덕특구 해제 등 대덕특구 구역 조정 ▲ 정부의 연구개발 예산 중 중소기업 지원비 일부를 지방정부의 기업수요 맞춤형 연구개발사업에 활용토록 하는 기업수요 맞춤형 연구개발시스템 구축 등이다.
또 개선안에는 외국인 근로자 취업활동 기간 5년에서 10년으로 연장, 변리사 사무소 법인취득 자격요건 완화, 의약품 제조관리자 자격 요건 조정 등도 포함돼 있다.
이들 안건은 중앙민관합동창조경제추진단의 검토를 거쳐 중앙창조경제민관협의회에 상정돼 채택되면 국정과제로 추진하게 된다.
창조경제협의회 공동위원장인 류순현 대전시 행정부시장은 "대덕특구가 창조경제 전지기지로 변모하려면 각종 규제를 개선해야 한다는 협의회 회원의 의견에 따라정부에 건의안을 내게 됐다"며 "기업활동에 부담을 주는 규제를 지속적으로 발굴,개선을 건의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지난 3월 10일 출범한 대전창조경제협의회는 지역 창조경제 육성사업의 중심 역할을 하는 협의체로, 대전시, KAIST, 대전상공회의소,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 등 지역 30개 산·학·연·관 대표가 참여하고 있다.
sw21@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규제개선안은 ▲ 한밭대·목원대·대전대 등 지역 3개 대학의 대덕연구개발특구(대덕특구) 편입 및 대덕산업단지의 대덕특구 해제 등 대덕특구 구역 조정 ▲ 정부의 연구개발 예산 중 중소기업 지원비 일부를 지방정부의 기업수요 맞춤형 연구개발사업에 활용토록 하는 기업수요 맞춤형 연구개발시스템 구축 등이다.
또 개선안에는 외국인 근로자 취업활동 기간 5년에서 10년으로 연장, 변리사 사무소 법인취득 자격요건 완화, 의약품 제조관리자 자격 요건 조정 등도 포함돼 있다.
이들 안건은 중앙민관합동창조경제추진단의 검토를 거쳐 중앙창조경제민관협의회에 상정돼 채택되면 국정과제로 추진하게 된다.
창조경제협의회 공동위원장인 류순현 대전시 행정부시장은 "대덕특구가 창조경제 전지기지로 변모하려면 각종 규제를 개선해야 한다는 협의회 회원의 의견에 따라정부에 건의안을 내게 됐다"며 "기업활동에 부담을 주는 규제를 지속적으로 발굴,개선을 건의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지난 3월 10일 출범한 대전창조경제협의회는 지역 창조경제 육성사업의 중심 역할을 하는 협의체로, 대전시, KAIST, 대전상공회의소,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 등 지역 30개 산·학·연·관 대표가 참여하고 있다.
sw21@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