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를 받으면 암세포를 이동성이 강한 형태로 만드는 효소가 더 많이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 건양대병원 약리학교실 이회영 교수와 건양대 의학과 대학원 최문정·조경화 씨 연구팀은 스트레스와 암세포 전이에 관한 동물실험을 통해 이를 확인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팀은 노르에피네프린 호르몬을 주입한 쥐를 이용해 실험한 결과 호르몬이텔로머레이스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킨다는 점을 밝혀냈다. 노르에피네프린은 긴장과흥분 상태에서 분비되는 스트레스 호르몬의 일종이다.
텔로머레이스 효소는 암세포의 모양을 이동성이 강한 형태로 변화시켜 전이를촉진하게 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스트레스가 암세포 생성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이미 알려졌으나, 전이에관여하는 과정은 제대로 규명되지 않았었다.
이회영 교수는 "이번 실험결과를 통해 암세포 운동성을 크게 하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며 "스트레스 호르몬과 텔로머레이스 효소를 억제할 수 있는 약물을 개발한다면 암세포 전이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 논문은 암 유전자 분야의 국제 학술지 '온코진(Oncogene)' 인터넷판에 실렸다.
walden@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대전 건양대병원 약리학교실 이회영 교수와 건양대 의학과 대학원 최문정·조경화 씨 연구팀은 스트레스와 암세포 전이에 관한 동물실험을 통해 이를 확인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팀은 노르에피네프린 호르몬을 주입한 쥐를 이용해 실험한 결과 호르몬이텔로머레이스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킨다는 점을 밝혀냈다. 노르에피네프린은 긴장과흥분 상태에서 분비되는 스트레스 호르몬의 일종이다.
텔로머레이스 효소는 암세포의 모양을 이동성이 강한 형태로 변화시켜 전이를촉진하게 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스트레스가 암세포 생성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이미 알려졌으나, 전이에관여하는 과정은 제대로 규명되지 않았었다.
이회영 교수는 "이번 실험결과를 통해 암세포 운동성을 크게 하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며 "스트레스 호르몬과 텔로머레이스 효소를 억제할 수 있는 약물을 개발한다면 암세포 전이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 논문은 암 유전자 분야의 국제 학술지 '온코진(Oncogene)' 인터넷판에 실렸다.
walden@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