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걀 껍데기처럼 단일 세포를 감싸 보존한 뒤필요할 때 분해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KAIST(한국과학기술원)는 화학과 최인성·이영훈 교수가 호주 멜버른대학교 화학공학과 프랭크 카루소 교수와 공동으로 나노미터 스케일의 필름으로 단일 세포를코팅해 생존할 수 있도록 하는 세포피포화 기술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세포피포화 기술은 세포의 생존을 유지하면서 세포를 단단한 캡슐로 포획하는기술로, 세포 기반 바이오센서나 세포치료제, 바이오촉매 등에 쓰인다.
기존에는 유기박막이나 유기박막을 주형으로 만들어진 무기물 캡슐을 이용하고있지만, 세포 표면에 너무 단단하게 형성돼 잘 분해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연구팀은 탄닌산 수용액과 철이온 수용액을 섞어 만들어진 '금속-폴리페놀박막'으로 효모세포를 하나씩 감싸는 데 성공했다.
탄닌산은 참나무 껍질이나 포도 껍질에서 추출한 천연물질로, 철이온과 만나면10초 이내로 금속-폴리페놀박막이 만들어진다.
이 박막으로 감싸진 세포들은 높은 생존율을 보였으며, 박막이 형성되는 시간이짧아 효율성이 높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특히 중성 pH(수소이온지수)에서는 안정적이지만 약한 산성조건에서는 빠르게분해되는 특성이 있어 원하는 때에 피포화된 세포를 분해할 수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화학분야 세계적 학술지 '앙게반테 케미'(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지에 지난 10일자로 실렸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KAIST(한국과학기술원)는 화학과 최인성·이영훈 교수가 호주 멜버른대학교 화학공학과 프랭크 카루소 교수와 공동으로 나노미터 스케일의 필름으로 단일 세포를코팅해 생존할 수 있도록 하는 세포피포화 기술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세포피포화 기술은 세포의 생존을 유지하면서 세포를 단단한 캡슐로 포획하는기술로, 세포 기반 바이오센서나 세포치료제, 바이오촉매 등에 쓰인다.
기존에는 유기박막이나 유기박막을 주형으로 만들어진 무기물 캡슐을 이용하고있지만, 세포 표면에 너무 단단하게 형성돼 잘 분해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연구팀은 탄닌산 수용액과 철이온 수용액을 섞어 만들어진 '금속-폴리페놀박막'으로 효모세포를 하나씩 감싸는 데 성공했다.
탄닌산은 참나무 껍질이나 포도 껍질에서 추출한 천연물질로, 철이온과 만나면10초 이내로 금속-폴리페놀박막이 만들어진다.
이 박막으로 감싸진 세포들은 높은 생존율을 보였으며, 박막이 형성되는 시간이짧아 효율성이 높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특히 중성 pH(수소이온지수)에서는 안정적이지만 약한 산성조건에서는 빠르게분해되는 특성이 있어 원하는 때에 피포화된 세포를 분해할 수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화학분야 세계적 학술지 '앙게반테 케미'(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지에 지난 10일자로 실렸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