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사이언스센터 건립 특구진흥재단 통한 투자로 변경

입력 2015-03-30 14:27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가 대전시의 '사이언스콤플렉스' 사업을 지원하는 방안과 관련, 과학기술인공제회(이하 공제회) 대신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하 특구재단)에서 투자를 받아 지원하는 방식으로 변경된다.

30일 이상민 국회의원이 미래부에서 받아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미래부와 대전시, 특구재단은 2013년 7월 미래부가 엑스포과학공원에 조성할 사이언스콤플렉스 사업에 공제회의 기금 500억원을 지원하는 대신 기초과학연구원(IBS)이 단지 내 26만㎡를 20년간 무상으로 사용하는 내용의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미래부는 애초 특구재단이 소유한 체육시설 등 대덕복지센터를 과학기술인 복지사업 기관인 공제회로 이관하는 대신 500억원 투자를 끌어내려 했으나 공제회가 원금 회수와 적정 수익 보장을 요구하고 나서면서 투자문제가 진통을 겪어 왔다.

공제회를 통한 투자 방안이 난관에 봉착하면서 미래부는 특구재단을 통한 투자방안을 새로 마련했다.

특구재단이 공제회 소유인 골프장 등 복지센터 자산을 담보로 투자액 300억원을확보하고, 대전시가 민자사업 투자자인 신세계로부터 지원받을 발전기금 180억원을투자하자는 것이다.

특구재단은 사이언스콤플렉스 내 들어설 사이언스센터(총 43층)의 9개 층에 대한 소유권을 이전받고, 대전시가 180억원을 투자할 경우 소유하게 될 5개 층을 30년동안 무상임대 운영해 투자원리금을 상환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미래부의 새로운 계획대로 쉽게 추진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대전시가 '개방형 도서관'을 사이언스센터 내로 집어 넣지 않을 경우 180억원투자는 곤란하다는 입장을 보이기 때문이다.

미래부도 해당 도서관을 IBS 내에 별도로 건립할 계획인 만큼 양 기관의 협의가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다.

미래부는 도서관을 사이언스센터 내 건립하면 도서관 위치 변경에 따른 고시 변경, 관계 부처 협의 등 어려움이 있어 IBS 사업마저 불확실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미래부의 한 관계자는 "예비타당성 조사를 받은 IBS 건립 사업이 변경되면 기재부 협의, 설계 사업자와의 변경 협의 등이 필요하다"며 "특구재단도 9개 층만 운영할 경우 282억원 적자가 예상되고 대전시 지분 5개 층을 더한 14개 층을 운영해야적자 규모가 8억원으로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상민 의원은 "미래부는 당초 협약대로 500억원을 대전시에 주면 되는 것이고도서관도 당초 계획대로 IBS로 들어가면 된다"며 "대전시도 180억원을 부담하든지아니면 원천 무효를 주장하며 대정부 투쟁을 하든지 결단을 내려야 할 시점"이라고강조했다.

kjunho@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