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부터 52개국 119명 졸업생 배출…지한파로 성장
KAIST가 정보기술(IT) 성장 잠재력이 큰 신흥국엘리트 공무원을 초청해 한국의 IT를 널리 알리려고 개설한 '글로벌 IT 기술대학원프로그램(ITTP·석박사 과정)'이 국내 IT산업의 경쟁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일 KAIST에 따르면 ITTP가 개설된 2006년부터 지난달까지 이 프로그램을 이수한 공무원이 52개국 119명으로 집계됐다.
이들은 IT 지한파로 활동하며 조달청의 조달구매시스템인 '나라장터'를 자국에도입하는 등 IT 한류에 기여하고 있다.
ITTP 교육과정은 신흥국 IT 공무원을 지한파로 만들어 국내 IT기업의 해외 진출을 돕는 데 중점을 뒀다.
신입생 선발부터 국내 산업체가 희망하는 국가와 우리나라가 협력해야 할 중점국가군을 최우선 고려했다.
이 과정에는 지난 10년간 아프리카 57명, 동남아 45명, 중남미 16명, 동유럽 16명, 중동 7명 등 모두 141명이 입학했다.
수업은 IT 및 IT정책 등을 소개하는 이론수업과 산학협력을 위한 프로젝트 수업으로 구성돼 있다.
특히 프로젝트 수업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정보화진흥원, KT 등국내 IT 전문기관 관계자들이 강사로 참여해 경험을 전수하고 있다.
ITTP 교육과정에 대한 해외정부와 국제기구의 평가는 예상보다 뜨거웠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ITTP 교육과정의 수월성을 인정해 학생 선발 정보를 190여 회원국에 알리는 공식문서를 발송하는 등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아프리카개발은행(AFDB)은 2010년 ITTP 교육 프로그램을 '차세대 아프리카 리더프로그램'으로 선정하고 아프리카지역 IT 공무원 19명을 파견했다. 2013년부터는 매년 10명씩 위탁교육생을 추가 파견하고 있다.
이 밖에 가나와 인도네시아 정보통신부도 자국 공무원의 위탁교육을 위해 별도의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
졸업생들도 국내 전자정부 솔루션의 수출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2012년 한 해 동안 한국이 수출한 전자정부 솔루션은 25건으로, 이 가운데 6건에 ITTP 수강생들이 연구원으로 참여해 한국의 IT 솔루션과 정책의 대변인 역할을하고 있다.
주요 사례는 정부보안관제센터(모로코), 주민등록정보시스템(아제르바이잔), 한국형첨단교육시스템(몽골), 우편물류 유지보수(카자흐스탄), 전자조달 유지보수(코스타리카), 정보통신기술(ICT) 마스터플랜(캄보디아) 등이다.
KAIST는 신흥국 정부 관계자들이 IT와 IT정책에 대한 장단기 교육프로그램 운영을 요청함에 따라 ITTP 프로그램을 확대해 운영할 계획이다.
ITTP 과정을 총괄하는 노재정 기술경영학과 교수는 "세계 각국의 IT 공무원을 '우리편'으로 만드는 일은 국제사회에서 IT코리아의 위상을 높이는데 매우 중요하다"며 "지한파 IT 공무원들은 대한민국 IT산업의 국제 경쟁력 확보에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sw21@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KAIST가 정보기술(IT) 성장 잠재력이 큰 신흥국엘리트 공무원을 초청해 한국의 IT를 널리 알리려고 개설한 '글로벌 IT 기술대학원프로그램(ITTP·석박사 과정)'이 국내 IT산업의 경쟁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일 KAIST에 따르면 ITTP가 개설된 2006년부터 지난달까지 이 프로그램을 이수한 공무원이 52개국 119명으로 집계됐다.
이들은 IT 지한파로 활동하며 조달청의 조달구매시스템인 '나라장터'를 자국에도입하는 등 IT 한류에 기여하고 있다.
ITTP 교육과정은 신흥국 IT 공무원을 지한파로 만들어 국내 IT기업의 해외 진출을 돕는 데 중점을 뒀다.
신입생 선발부터 국내 산업체가 희망하는 국가와 우리나라가 협력해야 할 중점국가군을 최우선 고려했다.
이 과정에는 지난 10년간 아프리카 57명, 동남아 45명, 중남미 16명, 동유럽 16명, 중동 7명 등 모두 141명이 입학했다.
수업은 IT 및 IT정책 등을 소개하는 이론수업과 산학협력을 위한 프로젝트 수업으로 구성돼 있다.
특히 프로젝트 수업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정보화진흥원, KT 등국내 IT 전문기관 관계자들이 강사로 참여해 경험을 전수하고 있다.
ITTP 교육과정에 대한 해외정부와 국제기구의 평가는 예상보다 뜨거웠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ITTP 교육과정의 수월성을 인정해 학생 선발 정보를 190여 회원국에 알리는 공식문서를 발송하는 등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아프리카개발은행(AFDB)은 2010년 ITTP 교육 프로그램을 '차세대 아프리카 리더프로그램'으로 선정하고 아프리카지역 IT 공무원 19명을 파견했다. 2013년부터는 매년 10명씩 위탁교육생을 추가 파견하고 있다.
이 밖에 가나와 인도네시아 정보통신부도 자국 공무원의 위탁교육을 위해 별도의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
졸업생들도 국내 전자정부 솔루션의 수출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2012년 한 해 동안 한국이 수출한 전자정부 솔루션은 25건으로, 이 가운데 6건에 ITTP 수강생들이 연구원으로 참여해 한국의 IT 솔루션과 정책의 대변인 역할을하고 있다.
주요 사례는 정부보안관제센터(모로코), 주민등록정보시스템(아제르바이잔), 한국형첨단교육시스템(몽골), 우편물류 유지보수(카자흐스탄), 전자조달 유지보수(코스타리카), 정보통신기술(ICT) 마스터플랜(캄보디아) 등이다.
KAIST는 신흥국 정부 관계자들이 IT와 IT정책에 대한 장단기 교육프로그램 운영을 요청함에 따라 ITTP 프로그램을 확대해 운영할 계획이다.
ITTP 과정을 총괄하는 노재정 기술경영학과 교수는 "세계 각국의 IT 공무원을 '우리편'으로 만드는 일은 국제사회에서 IT코리아의 위상을 높이는데 매우 중요하다"며 "지한파 IT 공무원들은 대한민국 IT산업의 국제 경쟁력 확보에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sw21@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