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 기준 철도시설공단 재해율 크게 감소
한국철도시설공단(이사장 강영일)의 현장 맞춤형 사고예방 활동이 안전사고를 크게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철도공단에 따르면 공단의 철도사업비는 2005년 3조5천억원에서 매년 늘어나 2015년 8조원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건설현장의 상시근로자수도 2배 이상 늘어났지만, 안전사고 환산재해율은 2005년 0.275%에서 지난해 0.087%로, 10년 사이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
올해 상반기까지 환산재해율은 0.008%로, 2005년 상반기 재해율 0.102%와 비교하면 10분의 1 이하 수준으로 낮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환산재해율은 사망자에 5배의 가중치를 부여한 뒤 부상자를 합한 환산재해자 수를 상시근로자 수로 나눠 산출한다.
철도공단이 지난 10년간 철도건설현장의 사고유형을 자체 분석한 결과, 노반,건축, 전력, 궤도, 신호 등 철도현장의 분야별로 추락, 감전, 끼임 등 사고발생 유형이 다르고, 완공 직전(공정률 80∼100%)에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현장에서 3개월 미만 근무한 신규 근로자가 재해자의 60%를 차지했고, 외국인근로자는 내국인 근로자에 비해 2배가량 높은 재해비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철도공단은 이 같은 사고유형 분석결과에 따라 분야별로 사고가 많이 일어나는유형 및 발생시기별로, 안전관리자, 감리단, 시공사, 하도급사, 신규 근로자 및 외국인 근로자 등을 대상으로 한 현장 맞춤형 사고예방 특별교육을 시행하고 취약현장에 대한 예방점검을 강화했다.
안전사고에 취약한 신규 근로자와 외국인 근로자는 안전모 색상을 노란색으로통일해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경력이 많은 근로자와 함께 작업을 맡기는 등현장에서 특별 관리를 시행하고 있다.
외국인 근로자용 안전교육교재를 베트남, 태국, 중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미얀마 등 7개 언어로 제작해 현장별로 통역사를 통해 특별 안전교육도 시행하고 있다.
공사현장 분야별로 취약사고 유형을 안내하는 현수막, 포스터 및 스티커를 집중배포하고, 사고 취약시기에 사고예방 특별 강조기간도 선정해 관리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지난해 7월부터 공단 임직원과 현장근로자가 즉시 활용할 수 있는'KR 재난알리미 앱(APP)'을 자체 개발해 스마트폰 등의 기기에서 활용하고 있다.
태풍, 폭염 등 기상변화와 사고 발생 등 현장의 위험요인 발생 때 이 앱으로 건설현장-공단-국토교통부부 간 원스톱 보고체계를 구축해 초동대처와 복구 등을 신속히 처리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또 기상상황, 계절특성 등 상황변화에 따른 안전예방 지침을 전 현장 근로자 및감독자에게 통지하고 있다.
강영일 이사장은 "현장 맞춤형, 예방적 안전관리대책이 효과를 내고 있다"며 "철도건설 사업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가 근절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사고유형을 분석하고 예방대책을 세워, 2020년 공단 목표 재해율 0.05%를 앞당겨 달성할 수 있도록할 것"이라고 밝혔다.
yej@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한국철도시설공단(이사장 강영일)의 현장 맞춤형 사고예방 활동이 안전사고를 크게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철도공단에 따르면 공단의 철도사업비는 2005년 3조5천억원에서 매년 늘어나 2015년 8조원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건설현장의 상시근로자수도 2배 이상 늘어났지만, 안전사고 환산재해율은 2005년 0.275%에서 지난해 0.087%로, 10년 사이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
올해 상반기까지 환산재해율은 0.008%로, 2005년 상반기 재해율 0.102%와 비교하면 10분의 1 이하 수준으로 낮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환산재해율은 사망자에 5배의 가중치를 부여한 뒤 부상자를 합한 환산재해자 수를 상시근로자 수로 나눠 산출한다.
철도공단이 지난 10년간 철도건설현장의 사고유형을 자체 분석한 결과, 노반,건축, 전력, 궤도, 신호 등 철도현장의 분야별로 추락, 감전, 끼임 등 사고발생 유형이 다르고, 완공 직전(공정률 80∼100%)에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현장에서 3개월 미만 근무한 신규 근로자가 재해자의 60%를 차지했고, 외국인근로자는 내국인 근로자에 비해 2배가량 높은 재해비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철도공단은 이 같은 사고유형 분석결과에 따라 분야별로 사고가 많이 일어나는유형 및 발생시기별로, 안전관리자, 감리단, 시공사, 하도급사, 신규 근로자 및 외국인 근로자 등을 대상으로 한 현장 맞춤형 사고예방 특별교육을 시행하고 취약현장에 대한 예방점검을 강화했다.
안전사고에 취약한 신규 근로자와 외국인 근로자는 안전모 색상을 노란색으로통일해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경력이 많은 근로자와 함께 작업을 맡기는 등현장에서 특별 관리를 시행하고 있다.
외국인 근로자용 안전교육교재를 베트남, 태국, 중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미얀마 등 7개 언어로 제작해 현장별로 통역사를 통해 특별 안전교육도 시행하고 있다.
공사현장 분야별로 취약사고 유형을 안내하는 현수막, 포스터 및 스티커를 집중배포하고, 사고 취약시기에 사고예방 특별 강조기간도 선정해 관리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지난해 7월부터 공단 임직원과 현장근로자가 즉시 활용할 수 있는'KR 재난알리미 앱(APP)'을 자체 개발해 스마트폰 등의 기기에서 활용하고 있다.
태풍, 폭염 등 기상변화와 사고 발생 등 현장의 위험요인 발생 때 이 앱으로 건설현장-공단-국토교통부부 간 원스톱 보고체계를 구축해 초동대처와 복구 등을 신속히 처리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또 기상상황, 계절특성 등 상황변화에 따른 안전예방 지침을 전 현장 근로자 및감독자에게 통지하고 있다.
강영일 이사장은 "현장 맞춤형, 예방적 안전관리대책이 효과를 내고 있다"며 "철도건설 사업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가 근절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사고유형을 분석하고 예방대책을 세워, 2020년 공단 목표 재해율 0.05%를 앞당겨 달성할 수 있도록할 것"이라고 밝혔다.
yej@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