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최경철 교수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진입 장벽 낮출 것"
국내 연구진이 실 자체가 빛을 내는 섬유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기술을 개발, 옷감으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를 제작할 수 있는기반을 마련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강성모) 전기 및 전자공학부 최경철 교수 연구팀은5일 착용형(웨어러블)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수 있는 섬유 기반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원천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나노 전자기술 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일렉트로닉 머터리얼스'(Advanced electronic materials, 7월 14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기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는 대부분 옷 위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딱딱하고 유연하지 않아 실생활 적용이 어렵고 직물의 특성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직물을 구성하는 섬유가 섬유 특성을 그대로유지하면서 자체가 유기발광 기능을 하는 섬유 OLED를 개발했다.
먼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를 만든 다음, 이 섬유를 유기 발광기능이 있는 물질 용액에 반복적으로 담가 섬유 표면에 여러 층의 유기층을 형성하는 '딥코팅법'을 사용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기존의 열 증착 방식으로는 만들기 어려웠던 원기둥 같은 3차원 기판에도 손쉽게 유기물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인출속도를 조절하면 코팅 두께를 수십∼-수백 나노미터(㎚=10억분의 1m)로 조절할 수 있다.
연구진은 "이 기술은 두루마리 가공 기술(Roll to Roll)을 통한 연속 생산으로저비용, 대량 생산이 가능해 섬유 기반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의 상용화를 앞당길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최경철 교수는 "이 기술은 직물 구성 요소인 섬유에 유기발광 디스플레이를 제조할 수 있는 원천기술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의 진입 장벽을 크게 낮출 것"이라며"먼저 의류에서 빛을 내는 패션용으로 적용한 뒤 미래에는 옷감 디스플레이 개발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scitech@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국내 연구진이 실 자체가 빛을 내는 섬유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기술을 개발, 옷감으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를 제작할 수 있는기반을 마련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강성모) 전기 및 전자공학부 최경철 교수 연구팀은5일 착용형(웨어러블)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수 있는 섬유 기반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원천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나노 전자기술 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일렉트로닉 머터리얼스'(Advanced electronic materials, 7월 14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기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는 대부분 옷 위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딱딱하고 유연하지 않아 실생활 적용이 어렵고 직물의 특성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직물을 구성하는 섬유가 섬유 특성을 그대로유지하면서 자체가 유기발광 기능을 하는 섬유 OLED를 개발했다.
먼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를 만든 다음, 이 섬유를 유기 발광기능이 있는 물질 용액에 반복적으로 담가 섬유 표면에 여러 층의 유기층을 형성하는 '딥코팅법'을 사용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기존의 열 증착 방식으로는 만들기 어려웠던 원기둥 같은 3차원 기판에도 손쉽게 유기물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인출속도를 조절하면 코팅 두께를 수십∼-수백 나노미터(㎚=10억분의 1m)로 조절할 수 있다.
연구진은 "이 기술은 두루마리 가공 기술(Roll to Roll)을 통한 연속 생산으로저비용, 대량 생산이 가능해 섬유 기반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의 상용화를 앞당길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최경철 교수는 "이 기술은 직물 구성 요소인 섬유에 유기발광 디스플레이를 제조할 수 있는 원천기술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의 진입 장벽을 크게 낮출 것"이라며"먼저 의류에서 빛을 내는 패션용으로 적용한 뒤 미래에는 옷감 디스플레이 개발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scitech@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