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필한 교수팀 "지방의 이동통로 '암죽관' 수축현상 발견"
KAIST는 나노과학기술대학원 김필한 교수 연구팀이 소장에서 지방이 흡수되는 과정의 비밀을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고 14일 밝혔다.
소장은 영양분을 흡수하는 기관이다. 그동안 소장 관찰을 위해 많은 과학자가노력해 왔지만 항상 쉬지 않고 움직이기 때문에 고해상도 촬영에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자체 개발한 초고속 레이저 스캐닝 공초점 현미경과 소장 상태를 보존하고 내벽을 고정할 수 있는 영상 챔버를 이용해 동물 모델의 소장 내벽에서 지방산이 흡수되는 과정을 촬영했다.
이 과정에서 지방의 흡수 통로인 암죽관이 일정 주기로 수축·이완하는 현상을발견했고, 암죽관의 수축 정도가 소장에서 지방산 흡수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도밝혀냈다.
연구팀은 이 암죽관 움직임이 융모 내부에 다량 존재하는 민무늬근세포에 의해발생하고, 이는 체내에 분포된 자율신경계를 통해 조절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된 최첨단 고해상도 생체영상기술로 소장 내 다양한 물질흡수과정의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신약 개발 과정에서 지용성 약물이 소장 내 암죽관으로 흡수를 유도해 간 독성을 최소화하는 새로운 약물전달 방법 확립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는 사람이 섭취하는 다량의 지용성 영양소가 체내로 흡수되는 과정에서 자율신경계로 조절되는 융모 내부의 암죽관 제어 메커니즘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나노과학기술대학원 최기백 박사과정 학생, 의과학대학원 장전엽 박사·박인태박사과정 학생이 1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결과는 의생명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임상연구(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Impact Factor 13.261)' 10월 5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sw21@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KAIST는 나노과학기술대학원 김필한 교수 연구팀이 소장에서 지방이 흡수되는 과정의 비밀을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고 14일 밝혔다.
소장은 영양분을 흡수하는 기관이다. 그동안 소장 관찰을 위해 많은 과학자가노력해 왔지만 항상 쉬지 않고 움직이기 때문에 고해상도 촬영에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자체 개발한 초고속 레이저 스캐닝 공초점 현미경과 소장 상태를 보존하고 내벽을 고정할 수 있는 영상 챔버를 이용해 동물 모델의 소장 내벽에서 지방산이 흡수되는 과정을 촬영했다.
이 과정에서 지방의 흡수 통로인 암죽관이 일정 주기로 수축·이완하는 현상을발견했고, 암죽관의 수축 정도가 소장에서 지방산 흡수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도밝혀냈다.
연구팀은 이 암죽관 움직임이 융모 내부에 다량 존재하는 민무늬근세포에 의해발생하고, 이는 체내에 분포된 자율신경계를 통해 조절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된 최첨단 고해상도 생체영상기술로 소장 내 다양한 물질흡수과정의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신약 개발 과정에서 지용성 약물이 소장 내 암죽관으로 흡수를 유도해 간 독성을 최소화하는 새로운 약물전달 방법 확립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는 사람이 섭취하는 다량의 지용성 영양소가 체내로 흡수되는 과정에서 자율신경계로 조절되는 융모 내부의 암죽관 제어 메커니즘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나노과학기술대학원 최기백 박사과정 학생, 의과학대학원 장전엽 박사·박인태박사과정 학생이 1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결과는 의생명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임상연구(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Impact Factor 13.261)' 10월 5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sw21@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