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탐사·지진연구 분야 학문·기술 발전 기여"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은 '올해의 KIGAM인상' 수상자로 국토지질연구본부 지진연구센터 통합지진탐지연구실 이희일 박사가 선정됐다고 10일 밝혔다.
이 박사는 1982년부터 지질자원연에 근무하며 물리탐사·지진연구 분야의 학문적, 기술적 발전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았다.
그는 1999∼2009년 유엔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기구(CTBTO)의 실무그룹 지진전문가로 활동했으며, 2009년부터 CTBTO 저주파 음파전문가 그룹 멤버로 활동하고 있다.
2007년에는 CTBTO 핵실험 현장사찰 예비 사찰관으로 임명되기도 했다.
특히 2002년과 2009년 두 차례 지진연구센터장직을 수행하면서 연구원 6명으로시작한 지진연구센터 연구조직을 30여명 규모로 확대하고, 지진연구센터 연구동을신축하는 등 지진연구센터 발전에 기여했다.
현재 지진연구센터는 국내외에 지진-공중음파 관측망을 구축, 지구상에서 발생하는 모든 지진을 24시간 모니터링하는 것은 물론 북한 핵실험을 2분 안에 탐지, 분석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갖춘 연구조직으로 발전했다.
그는 연구 분야에서도 인공지진 및 지자장 특성 연구를 통해 자연·인공 지진식별 기술을 개발하고, 지진 통합관측망 및 신속경보 시스템 구축·운영에 주도적으로참여하는 등 지진방재, 핵실험 탐지 분야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scitech@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은 '올해의 KIGAM인상' 수상자로 국토지질연구본부 지진연구센터 통합지진탐지연구실 이희일 박사가 선정됐다고 10일 밝혔다.
이 박사는 1982년부터 지질자원연에 근무하며 물리탐사·지진연구 분야의 학문적, 기술적 발전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았다.
그는 1999∼2009년 유엔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기구(CTBTO)의 실무그룹 지진전문가로 활동했으며, 2009년부터 CTBTO 저주파 음파전문가 그룹 멤버로 활동하고 있다.
2007년에는 CTBTO 핵실험 현장사찰 예비 사찰관으로 임명되기도 했다.
특히 2002년과 2009년 두 차례 지진연구센터장직을 수행하면서 연구원 6명으로시작한 지진연구센터 연구조직을 30여명 규모로 확대하고, 지진연구센터 연구동을신축하는 등 지진연구센터 발전에 기여했다.
현재 지진연구센터는 국내외에 지진-공중음파 관측망을 구축, 지구상에서 발생하는 모든 지진을 24시간 모니터링하는 것은 물론 북한 핵실험을 2분 안에 탐지, 분석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갖춘 연구조직으로 발전했다.
그는 연구 분야에서도 인공지진 및 지자장 특성 연구를 통해 자연·인공 지진식별 기술을 개발하고, 지진 통합관측망 및 신속경보 시스템 구축·운영에 주도적으로참여하는 등 지진방재, 핵실험 탐지 분야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scitech@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