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화학연구원과 경희대학교는 차세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친환경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페로브스카이트는 부도체·반도체·도체의 성질은 물론 초전도 현상까지 갖는산화물로, 페로브스카이트를 광 흡수층으로 사용하는 태양전지는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에 비해 효율이 높아 차세대 태양전지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수명이 다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폐기할 때 광 흡수층에 포함된납 성분이 유출돼 환경에 나쁜 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다.
화학연 문상진 박사와 경희대 임상혁 교수 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납 성분 일부를 구리로 대체한 소재를 개발해 국내 특허 등록과 미국 특허출원을 했다.
납 단일 성분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보다 환경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전기전도도와 소재 내구성도 우수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구리 도핑을 통해 반도체 특성을 조절할 수 있어 태양전지뿐만 아니라 LED, 트랜지스터 등 분야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나노 에너지'(Nano Energy) 지난달 호에 실렸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페로브스카이트는 부도체·반도체·도체의 성질은 물론 초전도 현상까지 갖는산화물로, 페로브스카이트를 광 흡수층으로 사용하는 태양전지는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에 비해 효율이 높아 차세대 태양전지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수명이 다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폐기할 때 광 흡수층에 포함된납 성분이 유출돼 환경에 나쁜 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다.
화학연 문상진 박사와 경희대 임상혁 교수 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납 성분 일부를 구리로 대체한 소재를 개발해 국내 특허 등록과 미국 특허출원을 했다.
납 단일 성분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보다 환경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전기전도도와 소재 내구성도 우수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구리 도핑을 통해 반도체 특성을 조절할 수 있어 태양전지뿐만 아니라 LED, 트랜지스터 등 분야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나노 에너지'(Nano Energy) 지난달 호에 실렸다.
jyou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