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을 해결하기 위해 추진되는 배드뱅크(Bad Bank)는 4조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먼저 사들일 전망이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과 8개 시중은행·특수은행으로 구성된 PF 태스크포스(TF)는 올해 2분기 중 PF 배드뱅크를 설립, 컨소시엄 형태의 사업장에 대한 부실채권을 먼저 매입할 방침이다.
개별 은행이 단독으로 대출해준 사업장보다 여러 은행이 컨소시엄 형태로 대출해준 사업장을 푸는 게 급선무라는 판단에서다.
지난해 말 현재 은행권의 PF 부실채권 잔액 6조4천억원 가운데 컨소시엄 형태로 나간 대출 채권은 약 4조원으로 알려졌다.
이를 위해 은행들은 부실채권의 규모에 따라 배드뱅크에 일정금액을 출자할 예정이다. 현재로서는 5천억~1조원 정도의 `캐피탈 콜''(출자 한도) 약정을 맺을 가능성이 크다.
통상적으로 50% 할인된 가격에 부실채권을 매입하고, 매입 자금을 마련하는 데 3~4배의 레버리지(차입효과)를 이용한다는 점을 고려한 수치다.
금감원 관계자는 "일반 부실채권을 정리하는 민간 배드뱅크 유암코 역시 설립 당시 1조원의 캐피탈 콜과 5천억원의 크레디트 라인(신용공여 한도) 약정을 맺었지만, 실제로는 5천억원에 조금 못 미치는 출자금으로만 운영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부실채권을 정상화해 매각하고 들어오는 대금을 다시 신규 채권 매입에 활용할 수 있는 만큼 출자금 규모가 크지 않아도 된다는 게 금감원의 설명이다.
다만, PF 사업의 특성상 추가 자금 투입이 필요한 데다 부실채권의 규모가 계속 늘어날 수 있다는 점에서 출자 한도가 늘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금감원은 은행권의 PF 부실채권 규모가 많게는 10조원까지 늘어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금감원 관계자는 다만 "은행권이 공동 출자한 유암코의 제안에 따라 PF 배드뱅크 설립이 추진되는 만큼 출자 규모도 배드뱅크를 필요로 하는 은행들이 협의를 거쳐 결정할 것이다"고 말했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과 8개 시중은행·특수은행으로 구성된 PF 태스크포스(TF)는 올해 2분기 중 PF 배드뱅크를 설립, 컨소시엄 형태의 사업장에 대한 부실채권을 먼저 매입할 방침이다.
개별 은행이 단독으로 대출해준 사업장보다 여러 은행이 컨소시엄 형태로 대출해준 사업장을 푸는 게 급선무라는 판단에서다.
지난해 말 현재 은행권의 PF 부실채권 잔액 6조4천억원 가운데 컨소시엄 형태로 나간 대출 채권은 약 4조원으로 알려졌다.
이를 위해 은행들은 부실채권의 규모에 따라 배드뱅크에 일정금액을 출자할 예정이다. 현재로서는 5천억~1조원 정도의 `캐피탈 콜''(출자 한도) 약정을 맺을 가능성이 크다.
통상적으로 50% 할인된 가격에 부실채권을 매입하고, 매입 자금을 마련하는 데 3~4배의 레버리지(차입효과)를 이용한다는 점을 고려한 수치다.
금감원 관계자는 "일반 부실채권을 정리하는 민간 배드뱅크 유암코 역시 설립 당시 1조원의 캐피탈 콜과 5천억원의 크레디트 라인(신용공여 한도) 약정을 맺었지만, 실제로는 5천억원에 조금 못 미치는 출자금으로만 운영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부실채권을 정상화해 매각하고 들어오는 대금을 다시 신규 채권 매입에 활용할 수 있는 만큼 출자금 규모가 크지 않아도 된다는 게 금감원의 설명이다.
다만, PF 사업의 특성상 추가 자금 투입이 필요한 데다 부실채권의 규모가 계속 늘어날 수 있다는 점에서 출자 한도가 늘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금감원은 은행권의 PF 부실채권 규모가 많게는 10조원까지 늘어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금감원 관계자는 다만 "은행권이 공동 출자한 유암코의 제안에 따라 PF 배드뱅크 설립이 추진되는 만큼 출자 규모도 배드뱅크를 필요로 하는 은행들이 협의를 거쳐 결정할 것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