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남상호 연구위원은 10일자 보건복지 이슈&포커스에 게재한 ''저소득층 자산보유 실태와 과제'' 제하 보고서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분석 결과 절대소득 빈곤가구 비중은 전체 가구의 10.2%였고, 소득이 중위소득의 40%에도 못 미치는 상대빈곤가구 비중은 14.7%였다.
반면 보유 자산이 6개월간 최저생계비보다 적은 절대자산 빈곤가구 비중은 전체의 13.3%였고, 보유자산이 순자산 중위수의 40%에도 못 미치는 상대자산빈곤 가구 비중은 29.3%에 달했다.
가구주 연령대별 자산빈곤 가구 비중을 보면 40대는 14.9%, 50대는 13.1%, 60대는 9.9%로 평균치(13.3%)와 큰 차이가 없지만, 70대(17.1%), 80대(27.5%), 90대(37.1%) 등 70대 이상 연령대에서는 그 자산빈곤 가구 비중이 급격하게 증가했다.
또 교육수준에 따른 자신빈곤 비중도 큰 차이를 보였는데 무학 그룹의 자산빈곤율은 27%에 달했지만 교육수준이 높아질수록 그 비중이 낮아졌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자산빈곤 가구 비중이 9.9%로 가장 낮았던 반면 전라와 제주 지역은 19.3%로 가장 높았다.
소득기준으로는 빈곤가구가 아니지만 자산기준으로는 빈곤에 속하는 가구의 순자산 규모가 소득과 자산 기준 빈곤가구에 비해 낮은 기현상도 나타났다. 소득과 자산은 많지만 부채가 더 많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자산은 질병 등 예상치 못한 외부적 요인이나 은퇴 등으로 소비 또는 지출 수준에 큰 변화가 불가피할 때 소비수준의 급격한 변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자산기준 빈곤율이 소득기준 빈곤율을 웃도는 만큼 최저생활보장 및 탈빈곤 정책 목표를 더욱 세밀하게 세우고 실행하기 위해서는 저소득층의 자산보유 실태에 관해 더 면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