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글로벌 증시 주요 이슈 살펴보겠습니다.
한국경제TV 보도국, 오상혁 기자 나와있습니다.
해외주요 이슈들 호재와 악재로 나눠 설명해주시죠.
<기자>
14일 글로벌 증시, 생산지표 악화로 유로존의 침체 정도가 생각보다 깊을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 가운데 시장에서는 미국 기업들의 지난해 4분기 어닝시즌에 대한 관망세가 두드러졌습니다.
먼저 마감은 유럽은 영국이 보합권 수준에서 소폭 하락한 반면 독일과 프랑스는 상승 마감했습니다.
지난해 11월 유로존 산업생산이 예상 밖으로 하락세를 보였는데요.
이 때문에 지난해 4분기 유로존 경제는 마이너스 성장을 보였을 것으로 추정되고 올 1분기에도 역성장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가 시장에 번졌습니다.
이런 가운데 뉴욕증시는 지난 2주간 이어진 랠리 부담감과 시총 1위 애플이 아이폰5의 판매 부진으로 디스플레이 주문량을 감축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다우만 강보합을 보였고 나스닥과 S&P500지수는 하락 마감했습니다.
해외 주요 이슈들 함께 살펴보시죠.
먼저 호재성 재료입니다.
미국의 지난해 주택 판매량이 7년만에 처음으로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가계의 주택 구입여력이 차츰 좋아지면서 주택 수요에 더욱 불을 지필 것이라는 기대감이 일고 있습니다.
미국 경제가 올해에는 2.5%, 내년에는 3.5% 각각 성장하며 뚜렷한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고 찰스 에반스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전망했습니다.
중국의 지난해 국내총생산 성장률이 4분기 상황 호전으로 7.8%선까지 예상되는 등 경기 연착륙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습니다. 진일보한 개혁심화 정책 등의 영향으로 올해도 안정성장이 이어져 8%대 성장이 가능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다음은 악재성 요인입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국가 채무 한도를 올리지 못하면 세계 경제가 걷잡을 수 없는 상황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미국 행정부가 연방 정부의 채무 한도 증액 협상이 실패하면 현금 지출을 제한하려고 공무원 임금과 사회보장 연금 등 각종 비용의 지급을 연기하는 극단적인 대책을 검토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유로존의 지난해 11월 산업생산이 예상보다 악화된 것으로 나타나면서 지난해 4분기 유로존 침체의 골이 훨씬 깊어졌음을 시사했습니다.
<앵커>
다음달 미국 정치권이 부채 한도 상향 등을 두고 재정절벽 협상 2라운드에 돌입하는데 미국 주 정부들이 독자적인 감세안을 추진하고 있다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다음달 미국 의회가 예산삭감과 부채 한도 증액 등을 두고 치열한 공방전을 예고한 가운데 공화당이 장악한 주 정부들이 독자적인 감세안을 강행해 논란이 되고 있는데요.
재정절벽 1차 협상에서 공화당이 민주당에 완패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고 연방정부의 세금정책도 증세 쪽으로 기울이는 모습을 보이자 주 정부의 세금을 내리겠다는 것입니다.
공화당 출신 주지사들은 주에서 걷는 소득세와 법인세를 철폐하는 대신 음식과 서비스 등에 추가로 붙는 매출세를 올려 줄어든 세수를 충당하는 법안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이런 움직임은 올해 초 미국의 재정절벽 협상 과정에서 연방 차원의 급여소득세가 4%에서 6%로 오르고 부자증세가 실현되는 등 각종 분야의 증세가 확정되자 공화당이 주 정부 차원에서라도 이런 흐름을 막아보자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공화당 출신의 주지사들이 잇따라 이 같은 법안 추진에 동참하겠다는 뜻을 밝혀 논의는 급물살을 타고 있는데요.
이들은 소득세와 법인세 감면이 개인 근로의욕과 기업투자 확대하고 이것이 실업률 감소와 경기회복으로 이어져 결과적으로 주 정부의 재정도 탄탄해질 것이라는 논리를 펴고 있습니다.
현재 공화당이 의회와 주지사직을 동시에 장악한 주가 전체 50개 가운데 절반 정도인 24개에 달해 이 같은 현상은 확산될 가능성이 높은데요.
하지만 주 정부 차원의 감세조치가 경기회복에는 큰 효과를 내지 못하고 주 정부의 재정만 부실해질 수 있다는 비판이 일고 있습니다.
특히 노스캐롤라이나주의 경우 총 185억달러의 연간 세수에서 소득세와 법인세가 65%를 차지하기 때문에 이를 일괄 철폐할 경우 막대한 파장이 예상됩니다.
한편 미국 백악관과 의회는 새해 벽두 재정 절벽 협상에서 부자 증세 등에 합의했지만 연방 정부의 예산 자동 삭감을 뜻하는 시퀘스터(sequester)와 국가 채무 법정 한도를 재조정하는 협상은 2개월 뒤로 미뤘는데요.
미국 연방 정부의 채무 상한은 지난달 말 이미 한도를 넘겨 재무부가 특별조치를 통해 2천억달러를 임시방편으로 조달했지만 이마저도 이르면 다음 달 중순 동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미국 정치권은 다음달 다시 협상 테이블에 앉아야 하는데요.
오바마 대통령이 최근 기자 회견에서 강경 입장을 다시 천명하면서 각종 사회보장제 개선과 정부 예산 삭감 조치를 패키지로 묶어 처리하려는 공화당과의 협상이 난항을 겪을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글로벌 경제 주요 이슈였습니다.
글로벌 증시 주요 이슈 살펴보겠습니다.
한국경제TV 보도국, 오상혁 기자 나와있습니다.
해외주요 이슈들 호재와 악재로 나눠 설명해주시죠.
<기자>
14일 글로벌 증시, 생산지표 악화로 유로존의 침체 정도가 생각보다 깊을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 가운데 시장에서는 미국 기업들의 지난해 4분기 어닝시즌에 대한 관망세가 두드러졌습니다.
먼저 마감은 유럽은 영국이 보합권 수준에서 소폭 하락한 반면 독일과 프랑스는 상승 마감했습니다.
지난해 11월 유로존 산업생산이 예상 밖으로 하락세를 보였는데요.
이 때문에 지난해 4분기 유로존 경제는 마이너스 성장을 보였을 것으로 추정되고 올 1분기에도 역성장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가 시장에 번졌습니다.
이런 가운데 뉴욕증시는 지난 2주간 이어진 랠리 부담감과 시총 1위 애플이 아이폰5의 판매 부진으로 디스플레이 주문량을 감축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다우만 강보합을 보였고 나스닥과 S&P500지수는 하락 마감했습니다.
해외 주요 이슈들 함께 살펴보시죠.
먼저 호재성 재료입니다.
미국의 지난해 주택 판매량이 7년만에 처음으로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가계의 주택 구입여력이 차츰 좋아지면서 주택 수요에 더욱 불을 지필 것이라는 기대감이 일고 있습니다.
미국 경제가 올해에는 2.5%, 내년에는 3.5% 각각 성장하며 뚜렷한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고 찰스 에반스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전망했습니다.
중국의 지난해 국내총생산 성장률이 4분기 상황 호전으로 7.8%선까지 예상되는 등 경기 연착륙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습니다. 진일보한 개혁심화 정책 등의 영향으로 올해도 안정성장이 이어져 8%대 성장이 가능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다음은 악재성 요인입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국가 채무 한도를 올리지 못하면 세계 경제가 걷잡을 수 없는 상황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미국 행정부가 연방 정부의 채무 한도 증액 협상이 실패하면 현금 지출을 제한하려고 공무원 임금과 사회보장 연금 등 각종 비용의 지급을 연기하는 극단적인 대책을 검토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유로존의 지난해 11월 산업생산이 예상보다 악화된 것으로 나타나면서 지난해 4분기 유로존 침체의 골이 훨씬 깊어졌음을 시사했습니다.
<앵커>
다음달 미국 정치권이 부채 한도 상향 등을 두고 재정절벽 협상 2라운드에 돌입하는데 미국 주 정부들이 독자적인 감세안을 추진하고 있다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다음달 미국 의회가 예산삭감과 부채 한도 증액 등을 두고 치열한 공방전을 예고한 가운데 공화당이 장악한 주 정부들이 독자적인 감세안을 강행해 논란이 되고 있는데요.
재정절벽 1차 협상에서 공화당이 민주당에 완패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고 연방정부의 세금정책도 증세 쪽으로 기울이는 모습을 보이자 주 정부의 세금을 내리겠다는 것입니다.
공화당 출신 주지사들은 주에서 걷는 소득세와 법인세를 철폐하는 대신 음식과 서비스 등에 추가로 붙는 매출세를 올려 줄어든 세수를 충당하는 법안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이런 움직임은 올해 초 미국의 재정절벽 협상 과정에서 연방 차원의 급여소득세가 4%에서 6%로 오르고 부자증세가 실현되는 등 각종 분야의 증세가 확정되자 공화당이 주 정부 차원에서라도 이런 흐름을 막아보자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공화당 출신의 주지사들이 잇따라 이 같은 법안 추진에 동참하겠다는 뜻을 밝혀 논의는 급물살을 타고 있는데요.
이들은 소득세와 법인세 감면이 개인 근로의욕과 기업투자 확대하고 이것이 실업률 감소와 경기회복으로 이어져 결과적으로 주 정부의 재정도 탄탄해질 것이라는 논리를 펴고 있습니다.
현재 공화당이 의회와 주지사직을 동시에 장악한 주가 전체 50개 가운데 절반 정도인 24개에 달해 이 같은 현상은 확산될 가능성이 높은데요.
하지만 주 정부 차원의 감세조치가 경기회복에는 큰 효과를 내지 못하고 주 정부의 재정만 부실해질 수 있다는 비판이 일고 있습니다.
특히 노스캐롤라이나주의 경우 총 185억달러의 연간 세수에서 소득세와 법인세가 65%를 차지하기 때문에 이를 일괄 철폐할 경우 막대한 파장이 예상됩니다.
한편 미국 백악관과 의회는 새해 벽두 재정 절벽 협상에서 부자 증세 등에 합의했지만 연방 정부의 예산 자동 삭감을 뜻하는 시퀘스터(sequester)와 국가 채무 법정 한도를 재조정하는 협상은 2개월 뒤로 미뤘는데요.
미국 연방 정부의 채무 상한은 지난달 말 이미 한도를 넘겨 재무부가 특별조치를 통해 2천억달러를 임시방편으로 조달했지만 이마저도 이르면 다음 달 중순 동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미국 정치권은 다음달 다시 협상 테이블에 앉아야 하는데요.
오바마 대통령이 최근 기자 회견에서 강경 입장을 다시 천명하면서 각종 사회보장제 개선과 정부 예산 삭감 조치를 패키지로 묶어 처리하려는 공화당과의 협상이 난항을 겪을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글로벌 경제 주요 이슈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