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지난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2%대에 간신히 턱걸이했습니다.
금융위기 수준입니다.
신선미 기자입니다.
<기자> 2012년 국내총생산(GDP)은 2%.
3년 만에 가장 낮은 성장률인데다, 금융위기가 터졌던 2008(2.3%)년 수준에도 못 미칩니다.
<인터뷰> 김영배 한국은행 경제통계국장
“유럽 재정위기 여파의 개선 속도가 예상치에 못 미쳤기 때문이다"
성장률이 둔화된 데에는 글로벌 경기침체와 내수부진의 영향이 큽니다.
수출과 수입이(3.7%,2.3%) 지난해 증가율(9.5%,6.5%)에 비하면 초라한 수준입니다.
대내외 경기가 안 좋다보니 기업들이 투자를 줄여 설비투자도 1.8% 감소로 돌아섰습니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내수경기도 안 좋습니다.
부동산 침체 탓에 건설투자는 1.5% 줄었고, 얇아진 지갑 탓에 민간소비도 1.8% 증가하는데 그쳤습니다.
올해도 낙관만은 할 수 없습니다.
IMF와 세계은행이 세계경제성장률을 내려 잡고 있는데다, 투자와 소비심리도 풀리지 않고 있어 저성장이 고착화 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경제 TV 신선미입니다.
금융위기 수준입니다.
신선미 기자입니다.
<기자> 2012년 국내총생산(GDP)은 2%.
3년 만에 가장 낮은 성장률인데다, 금융위기가 터졌던 2008(2.3%)년 수준에도 못 미칩니다.
<인터뷰> 김영배 한국은행 경제통계국장
“유럽 재정위기 여파의 개선 속도가 예상치에 못 미쳤기 때문이다"
성장률이 둔화된 데에는 글로벌 경기침체와 내수부진의 영향이 큽니다.
수출과 수입이(3.7%,2.3%) 지난해 증가율(9.5%,6.5%)에 비하면 초라한 수준입니다.
대내외 경기가 안 좋다보니 기업들이 투자를 줄여 설비투자도 1.8% 감소로 돌아섰습니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내수경기도 안 좋습니다.
부동산 침체 탓에 건설투자는 1.5% 줄었고, 얇아진 지갑 탓에 민간소비도 1.8% 증가하는데 그쳤습니다.
올해도 낙관만은 할 수 없습니다.
IMF와 세계은행이 세계경제성장률을 내려 잡고 있는데다, 투자와 소비심리도 풀리지 않고 있어 저성장이 고착화 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경제 TV 신선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