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창조경제가 새 정부의 모토가 되면서 은행권에서는 이를 지원하는 창조금융 바람이 활발하게 불고 있습니다. 하지만 무형의 가치에 대한 측정이 쉽지 않고 리스크관리도 어려워 은행들에게는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이근형 기자입니다.
<기자> 파주의 한 영화제작사는 요즘 은행으로부터 대출을 받는데 성공했습니다.
이렇다 할 담보나 매출실적이 없지만 사업의 성장잠재력을 인정받은 것입니다.
[인터뷰] 윤석완 덱스터디지털 재무담당 이사
“대부분 금융권은 회사 사업성을 보기보다는 담보라든가 기타 여건에 의해서 거래여부를 결정하는 경우가 훨씬 많은데 다른 것보다도 콘텐츠 자체에 대한 사업성을 봐주셨기 때문에 많은 도움이 됐다.”
[인터뷰] 정성희 기업은행 팀장
"그동안 1금융권에서 못했던 이유가 무형자산에 대한 평가가 어려워서 진행을 못했던건데요. 그러다보니까 저희가 사업팀 생기면서 콘텐츠 전문가 세명을 영입했습니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창조경제는 상상력과 창의력을 산업화하는 것이라면 창조금융은 이같은 창조경제를 금융부문이 혁신적으로 지원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은행들은 그에따라 창조금융 실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국민은행은 은행장 직속 창조금융위원회를 만들고 기업의 기술적 가치를 평가해 금융지원에 나섰습니다.
산업은행 역시 지적재산권을 담보로 대출해주는 특허대출을 출시했습니다.
[인터뷰] 조경칠 KDB산업은행 기술금융부장
"지식재산권을 부동산과 똑같은 정식담보로 인정한다는데 큰 차이가 있다. 기업입장에서는 완전 신용대출에 비해 금리 효과가 있고, 담보를 제공함으로써 금융권으로 부터 자금지원이 수월해진다."
이러한 창조금융 바람은 자칫 유망한 사업이 사장되지 않도록 돕는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지만 은행들에게는 반드시 달가운 일인 것만은 아닙니다.
무형의 가치를 측정하기 어렵고 리스크관리에 많은 인력과 비용이 들어가는데다 그에비해 얻어지는 수익은 극히 미미하기 때문입니다.
일단 정부정책에 보조를 맞춰나가고는 있지만 예대마진 감소로 수익이 부진한 은행들의 부담 또한 점차 가중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이근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