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은행이 발표한 1분기 실질 GDP 성장률이 1%를 넘지 못한 데 대해, 경제계가 깊은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사상 처음으로 8분기 연속 0%대 성장률을 기록했는데도 그 심각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인데요. 저성장 기조의 장기화가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박병연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우리나라 실질 GDP 성장률이 8분기 연속 0%대 성장을 이어가면서, 일본식 장기 침체에 빠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일고 있습니다.
경제계는 우리나라 GDP 성장률이 지난 2003년 이후 세계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고, 최근에는 미국이나 일본 등 선진국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는 데도 심각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인터뷰> 임상혁 전경련 상무
“1분기 GDP 성장률이 0.9%를 기록한 걸 놓고 기대보다 상당히 잘 나왔다고 평가하고 있는 데, 8분기 연속 0%대 성장률을 보인 것은 사상 처음이고요. 우리 보다 경제규모가 두 배, 세 배인 미국이나 일본 같은 저성장세를 계속 이어간다면 결코 그들을 따라잡을 수 없습니다. 산업계는 0%대 성장률 뿐만아니라 위기에 대한 불감증이 0%라는 것을 더 우려하고 있습니다."
우리 경제가 이처럼 활력을 잃어가고 있는 것은 2000년대 들어 새로운 수출주력산업이 등장하지 않고 있고 2010년 세계 3위었던 제조업 경쟁력 순위도 지난해 6위로 떨어지는 등 산업경쟁력이 떨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전경련은 이처럼 저성장 기조가 계속 이어질 경우 기업은 물론, 국과와 가계 모두 심각한 위기에 봉착할 것이며 결국 국민의 삶의 질도 심각한 위협을 받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인터뷰> 임상혁 전경련 상무
“저성장 기조가 계속된다면 가장 어려워지는 것은 서민들의 삶입니다. 기업 소득이 줄게 되면 투자를 줄일수 밖에 없고 일자리도 늘릴 수 없게 됩니다. 그렇게되면 가계 소득도 줄 수 밖에 없겠죠. 결국 소비가 줄고 양극화가 더 심화될 수 밖에 없습니다. 서민생활을 위해서, 양극화를 줄이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이 성장이라고 봅니다."
한국금융연구원에 따르면 경제성장률이 1% 하락할 경우 일자리가 7만6500여 개 줄어듭니다.
가계소득도 3조원 이상 줄어들고 가계부채는 가구당 1700만원 가량 늘어나 살림살이가 더욱 팍팍해 지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성장률 둔화로 가계소득과 기업소득이 감소할 경우 근로소득세 3500억원, 법인세 4500억원 등 모두 8천억원의 세수감소 효과가 나타나, 국가 재정도 악화될 수 밖에 없습니다.
성장률을 2%만 높여도 지하경제 양성화로 확보할 수 있는 세수(1조4천억원) 보다 훨씬 많은 세수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경제계는 우리나라가 선진 일류 국가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창조경제의 핵심가치인 산업간 융복합에 앞서 기존 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노화된 산업구조를 재편하는 작업을 서둘러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한국경제TV 박병연입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1분기 실질 GDP 성장률이 1%를 넘지 못한 데 대해, 경제계가 깊은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사상 처음으로 8분기 연속 0%대 성장률을 기록했는데도 그 심각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인데요. 저성장 기조의 장기화가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박병연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우리나라 실질 GDP 성장률이 8분기 연속 0%대 성장을 이어가면서, 일본식 장기 침체에 빠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일고 있습니다.
경제계는 우리나라 GDP 성장률이 지난 2003년 이후 세계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고, 최근에는 미국이나 일본 등 선진국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는 데도 심각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인터뷰> 임상혁 전경련 상무
“1분기 GDP 성장률이 0.9%를 기록한 걸 놓고 기대보다 상당히 잘 나왔다고 평가하고 있는 데, 8분기 연속 0%대 성장률을 보인 것은 사상 처음이고요. 우리 보다 경제규모가 두 배, 세 배인 미국이나 일본 같은 저성장세를 계속 이어간다면 결코 그들을 따라잡을 수 없습니다. 산업계는 0%대 성장률 뿐만아니라 위기에 대한 불감증이 0%라는 것을 더 우려하고 있습니다."
우리 경제가 이처럼 활력을 잃어가고 있는 것은 2000년대 들어 새로운 수출주력산업이 등장하지 않고 있고 2010년 세계 3위었던 제조업 경쟁력 순위도 지난해 6위로 떨어지는 등 산업경쟁력이 떨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전경련은 이처럼 저성장 기조가 계속 이어질 경우 기업은 물론, 국과와 가계 모두 심각한 위기에 봉착할 것이며 결국 국민의 삶의 질도 심각한 위협을 받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인터뷰> 임상혁 전경련 상무
“저성장 기조가 계속된다면 가장 어려워지는 것은 서민들의 삶입니다. 기업 소득이 줄게 되면 투자를 줄일수 밖에 없고 일자리도 늘릴 수 없게 됩니다. 그렇게되면 가계 소득도 줄 수 밖에 없겠죠. 결국 소비가 줄고 양극화가 더 심화될 수 밖에 없습니다. 서민생활을 위해서, 양극화를 줄이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이 성장이라고 봅니다."
한국금융연구원에 따르면 경제성장률이 1% 하락할 경우 일자리가 7만6500여 개 줄어듭니다.
가계소득도 3조원 이상 줄어들고 가계부채는 가구당 1700만원 가량 늘어나 살림살이가 더욱 팍팍해 지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성장률 둔화로 가계소득과 기업소득이 감소할 경우 근로소득세 3500억원, 법인세 4500억원 등 모두 8천억원의 세수감소 효과가 나타나, 국가 재정도 악화될 수 밖에 없습니다.
성장률을 2%만 높여도 지하경제 양성화로 확보할 수 있는 세수(1조4천억원) 보다 훨씬 많은 세수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경제계는 우리나라가 선진 일류 국가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창조경제의 핵심가치인 산업간 융복합에 앞서 기존 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노화된 산업구조를 재편하는 작업을 서둘러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한국경제TV 박병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