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노사합의로 현대차 울산 공장의 주말 특근이 재개될 예정이었지만 노노갈등으로 지난 주말 끝내 공장은 돌아가지 않았습니다.
수출 차질 등 생산피해가 눈덩이 처럼 불어나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유은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현대자동차 노사대표간 합의도 노노갈등 앞에서는 속수무책이었습니다.
현대차 노사 대표는 지난달 26일 주말 특근 재개에 합의했으나 각 공장 노조 대표들이 집행부에 반기를 들면서 결국 9주째 주말 특근은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이로써 3월 이후 지금까지 6만3천대, 1조3천억원의 생산차질이 빚어지면서 국내외 매출감소 기간은 더 길어지게 됐습니다.
미국 등 해외시장에서 차가 없어서 못팔고 있는 현대차 관계자들은 할 말을 잃었습니다.
<인터뷰> 현대차 본사 관계자
“수출시장이나 이런 부분에는 타격이 있죠. 해외에서 생산되지 않는 차종은 여기서(국내) 나가니까. 주문은 계속 들어와도 어떻게 해 줄 수 있는 게 아니고 해외에서 바로 대체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노사 대표는 주말 특근을 기존의 밤샘근무로 하지 않고, 주간연속 2교대 근무(1조 8시간 + 2조 9시간 근무)로, 또한 노조가 요구한 금액의 96.2에 해당하는 (1조 20만6162원, 2조 24만3803원) 수당지급에 합의했습니다.
이는 기존 밤샘근무 한 개조의 14시간 근무 31만원 지급에 비해 인건비가 더 들어가고 근로조건도 개선되는 것이어서 개별 공장의 반발을 회사측은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입니다.
전문가들은 이는 외부 여론과 회사의 성장을 전혀 생각하지 않는 노조내 권력투쟁 이상의 의미가 없다고 진단합니다.
<인터뷰> A증권사 자동차담당 연구원
“정치적인 성향이 조금 더 짙은 싸움이 아닌가..이 부분(주말특근거부)은 노조 내부적으로..노노갈등인 것 같아요. 어찌보면 노조 내부의 갈등이지 지금은 노조와 사측의 갈등은 넘어선 문제인 것 같습니다.”
이 때문에 이번 주말 특근을 둘러싼 노노갈등은 오는 9월 노조위원장 선거를 앞두고 집권을 노리는 각 계파조직간 주도권 경쟁이 본격화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개별 조합원들의 이익과 회사의 성장을 저버리고 계파간 정치적 이득에만 매몰된 지금의 현대차 노동운동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유은길입니다.
노사합의로 현대차 울산 공장의 주말 특근이 재개될 예정이었지만 노노갈등으로 지난 주말 끝내 공장은 돌아가지 않았습니다.
수출 차질 등 생산피해가 눈덩이 처럼 불어나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유은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현대자동차 노사대표간 합의도 노노갈등 앞에서는 속수무책이었습니다.
현대차 노사 대표는 지난달 26일 주말 특근 재개에 합의했으나 각 공장 노조 대표들이 집행부에 반기를 들면서 결국 9주째 주말 특근은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이로써 3월 이후 지금까지 6만3천대, 1조3천억원의 생산차질이 빚어지면서 국내외 매출감소 기간은 더 길어지게 됐습니다.
미국 등 해외시장에서 차가 없어서 못팔고 있는 현대차 관계자들은 할 말을 잃었습니다.
<인터뷰> 현대차 본사 관계자
“수출시장이나 이런 부분에는 타격이 있죠. 해외에서 생산되지 않는 차종은 여기서(국내) 나가니까. 주문은 계속 들어와도 어떻게 해 줄 수 있는 게 아니고 해외에서 바로 대체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노사 대표는 주말 특근을 기존의 밤샘근무로 하지 않고, 주간연속 2교대 근무(1조 8시간 + 2조 9시간 근무)로, 또한 노조가 요구한 금액의 96.2에 해당하는 (1조 20만6162원, 2조 24만3803원) 수당지급에 합의했습니다.
이는 기존 밤샘근무 한 개조의 14시간 근무 31만원 지급에 비해 인건비가 더 들어가고 근로조건도 개선되는 것이어서 개별 공장의 반발을 회사측은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입니다.
전문가들은 이는 외부 여론과 회사의 성장을 전혀 생각하지 않는 노조내 권력투쟁 이상의 의미가 없다고 진단합니다.
<인터뷰> A증권사 자동차담당 연구원
“정치적인 성향이 조금 더 짙은 싸움이 아닌가..이 부분(주말특근거부)은 노조 내부적으로..노노갈등인 것 같아요. 어찌보면 노조 내부의 갈등이지 지금은 노조와 사측의 갈등은 넘어선 문제인 것 같습니다.”
이 때문에 이번 주말 특근을 둘러싼 노노갈등은 오는 9월 노조위원장 선거를 앞두고 집권을 노리는 각 계파조직간 주도권 경쟁이 본격화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개별 조합원들의 이익과 회사의 성장을 저버리고 계파간 정치적 이득에만 매몰된 지금의 현대차 노동운동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유은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