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 인도, 브라질 등 개발도상국이 2030년 글로벌 투자의 6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세계은행(WB)은 17일(현지시간) 내놓은 `글로벌 개발 조망`(GDH) 보고서에서 개도국의 전체 투자가 2030년께 3배로 증가해 선진국을 능가하는 수준으로 올라설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지난 반세기 동안 이들 신흥 시장 국가의 투자 비중은 20%에 불과했습니다.
향후 20년간 글로벌 투자에 핵심 역할을 하면서 성장 동력을 이끌 국가는 한국과 중국, 브라질,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동아시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에 집중될 것으로 보고서는 예측했습니다.
이들 개도국 가운데서도 중국, 인도가 최대 투자자로 올라서 2030년 총 투자의 38%를 점유할 것으로 관측됐습니다.
또 2030년 158조 달러(2010년 달러화 기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세계 총자산의 절반을 이들 신흥 시장 국가가 차지할 것으로 보고서는 전망했습니다.
보고서는 "선진국은 앞으로 저성장과 고령화 등으로 투자가 부진해지고 저축률도 하락하겠지만, 개도국의 경제 규모가 확대돼 이를 대체하면서 전체 저축 및 투자는 종전과 비슷한 수준(총생산의 22∼23%)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세계은행(WB)은 17일(현지시간) 내놓은 `글로벌 개발 조망`(GDH) 보고서에서 개도국의 전체 투자가 2030년께 3배로 증가해 선진국을 능가하는 수준으로 올라설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지난 반세기 동안 이들 신흥 시장 국가의 투자 비중은 20%에 불과했습니다.
향후 20년간 글로벌 투자에 핵심 역할을 하면서 성장 동력을 이끌 국가는 한국과 중국, 브라질,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동아시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에 집중될 것으로 보고서는 예측했습니다.
이들 개도국 가운데서도 중국, 인도가 최대 투자자로 올라서 2030년 총 투자의 38%를 점유할 것으로 관측됐습니다.
또 2030년 158조 달러(2010년 달러화 기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세계 총자산의 절반을 이들 신흥 시장 국가가 차지할 것으로 보고서는 전망했습니다.
보고서는 "선진국은 앞으로 저성장과 고령화 등으로 투자가 부진해지고 저축률도 하락하겠지만, 개도국의 경제 규모가 확대돼 이를 대체하면서 전체 저축 및 투자는 종전과 비슷한 수준(총생산의 22∼23%)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