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물가 상승률이 8개월째 1%대에 머물면서 우리 경제가 일본처럼 디플레이션에 빠진게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는 지난해 물가가 상대적으로 높았던데 따른 착시 효과일 뿐이라며 선을 그었습니다.
보도에 김택균 기자입니다.
<기자>
6월 소비자물가가 전년 동월 보다 1.0% 상승했습니다.
지난해 11월 1%대에 진입한 물가가 8개월째 1%대에 머물며 이제 0%대 진입을 앞두고 있는 겁니다.
이같은 물가는 IMF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 9월의 0.8% 이후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양호한 기후로 농산물 가격이 안정된데다 글로벌 경기침체로 국제유가가 내린게 가장 큰 이유입니다.
실제로 식탁물가인 신선식품지수는 2.2% 하락했고 석유류 가격은 5.1% 내리면서 안정세를 이어갔습니다.
이에 힘입어 서민생활과 밀접한 생활물가는 전년대비 0.3% 오르는데 그쳤습니다.
일각에선 이같은 낮은 수준의 물가가 디플레이션을 초래해 우리 경제 성장의 발목을 잡는게 아니냐는 우려를 내놓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는 지난해 기저 효과에 따른 착시 현상이란게 통계청의 설명입니다.
<인터뷰> 김보경 통계청 물가동향과장
"작년 하반기 물가를 보면 상반기까지는 3~2%대를 유지지하다가 7~8월에 1%대로 낮아졌습니다. 하반기에는 기저 효과로 수치상 높아질 것 같습니다."
정부는 하반기로 갈수록 다시 물가가 오를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수산물과 공산물 유통구조개선 대책을 7월과 9월에 잇따라 내놓는 한편 알뜰주유소 확대 등을 통해 석유가격 안정에 주력할 계획입니다.
한국경제TV 김택균입니다.
물가 상승률이 8개월째 1%대에 머물면서 우리 경제가 일본처럼 디플레이션에 빠진게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는 지난해 물가가 상대적으로 높았던데 따른 착시 효과일 뿐이라며 선을 그었습니다.
보도에 김택균 기자입니다.
<기자>
6월 소비자물가가 전년 동월 보다 1.0% 상승했습니다.
지난해 11월 1%대에 진입한 물가가 8개월째 1%대에 머물며 이제 0%대 진입을 앞두고 있는 겁니다.
이같은 물가는 IMF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 9월의 0.8% 이후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양호한 기후로 농산물 가격이 안정된데다 글로벌 경기침체로 국제유가가 내린게 가장 큰 이유입니다.
실제로 식탁물가인 신선식품지수는 2.2% 하락했고 석유류 가격은 5.1% 내리면서 안정세를 이어갔습니다.
이에 힘입어 서민생활과 밀접한 생활물가는 전년대비 0.3% 오르는데 그쳤습니다.
일각에선 이같은 낮은 수준의 물가가 디플레이션을 초래해 우리 경제 성장의 발목을 잡는게 아니냐는 우려를 내놓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는 지난해 기저 효과에 따른 착시 현상이란게 통계청의 설명입니다.
<인터뷰> 김보경 통계청 물가동향과장
"작년 하반기 물가를 보면 상반기까지는 3~2%대를 유지지하다가 7~8월에 1%대로 낮아졌습니다. 하반기에는 기저 효과로 수치상 높아질 것 같습니다."
정부는 하반기로 갈수록 다시 물가가 오를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수산물과 공산물 유통구조개선 대책을 7월과 9월에 잇따라 내놓는 한편 알뜰주유소 확대 등을 통해 석유가격 안정에 주력할 계획입니다.
한국경제TV 김택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