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 경영공백 장기화

입력 2013-08-22 17:40   수정 2013-08-22 18:55

<앵커> 국토부 외압 논란이 불거진 코레일 사장 공모가 원점으로 돌아갔습니다.
관치와 낙하산 인사 논란으로 한 차례 중단됐던 박근혜 정부 공공기관 인선에 또 한번 잡음이 일면서 코레일의 경영도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엄수영 기자입니다.

<기자> 박근혜 정부의 고질적 문제점으로 꼽혔던 `인사문제`가 코레일(한국철도공사)에서 또 한번 터졌습니다.

기획재정부 공공기관운영위원회는 21일 긴급회의를 열고 참석위원 7명 전원의 찬성으로 코레일 사장 재공모를 결정했습니다.

코레일의 상급기관인 국토교통부가 특정 후보를 밀고 있다는 논란이 확산되면서 공운위가 부담을 느낀 것입니다.

코레일 사장 선임은 공모와 임원추천위원회의 서류 심사, 면접 등을 통해 공공기관운영위에 후보자를 3배수로 추천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됐습니다.

코레일 관계자는 "구체적인 재공모 일정이 나오지 않았지만 이달 안으로는 공모가 진행되지 않겠냐"면서 "하지만 신임 사장이 선임되기까지는 한 달 이상 더 걸릴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기재부는 후보로 정일영 교통안전공단 이사장, 이재붕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장, 팽정광 코레일 부사장 등이 재공모에서 불이익을 받진 않을 것이라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이미 한 차례 논란이 있었던 만큼 이들 후보가 다시 나설 경우 잡음을 피하기는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6월 말 이후 코레일 사장 공석이 석 달 이상 지속되는 가운데 용산역세권개발사업의 뒷처리도 지지부진해지고 있습니다.

코레일이 용산개발 부지 땅값으로 받은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과 자산담보부증권(ABS) 원금 1조197억원의 최종 만기가 9월 5일로 다가왔지만, 의사결정이 미뤄질 전망입니다.

경영 공백이 장기화되면서 코레일의 속병도 키우고 있습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코레일의 누적부채는 11조 6천억원으로 재무상태가 `매우 위험`하다는 평가를 받은 바 있습니다.

공공기관장 인사에 `낙하산은 없다`는 원칙을 강조했던 박근혜 정부.

이번 사장 선임과정에서 `관치 인사`논란이 또 한번 불거지면서, 코레일의 경영도 표류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엄수영입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