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가구의 절반 이상이 전·월세에 살고 있고
전세 보증금도 처음으로 평균 1억원을 넘어섰다.
그나마 보증금 1억원 이상을 내고 사는 전세 세입자는 10명중 4명에 불과했다.
세입자의 절반 이상은 보증금이 5%이상 오르면 감당하기 어렵다고 느끼고 있었다.
이같은 결과는 주택금융공사가 최근 전국 만 20∼59세 가구주
5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드러났다.
자기집을 소유한 가구는 전체의 49.6%로 2011년의 50.6%보다
1%P 떨어졌다.
2007년에는 이 비율이 63.6%였다.
반면 전세와 월세가 각각 전체가구의 25.4%, 13.2%에 달했다.
2011년까지 거의 없던 반전세는 지난해 전체가구의 4.4%까지 올라
전세가 점차 월세로 바뀌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전세임대계약 평균 지속기간은 2.9년, 월세는 2.3년 이었다.
지난해 전세보증금은 평균 1억 183만원으로 처음 1억원선을 넘어섰다.
2011년 9천47만원보다 1천만원이상 늘어난 것이다.
2010년에는 7천528만원이었다.
반전세 보증금도 전년대비 1천만원이상 늘어난 4천490만원으로 나타났다.
평균 월세는 33만원으로 40만원이상이 전체의 32.6%로 가장 많았다.
전세계약을 유지하고 싶은 가구의 53.5%는 보증금이 5%이하 올라야
감내할 수 있다고 답했고 10%이상 수용 가능하다는 가구는
전체의 13.2%에 그쳤다.
향후 집을 임차하려는 가구는 전체의 58%로 이 가운데 전세 희망자가
전체의 85.2%나 되어 전세난이 심해질 수 밖에 없는 원인으로 분석됐다.
한편 전체가구의 57.3%가 자가주택을 소유하고 있으며 유주택자의
17.8%는 2채이상 집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세 보증금도 처음으로 평균 1억원을 넘어섰다.
그나마 보증금 1억원 이상을 내고 사는 전세 세입자는 10명중 4명에 불과했다.
세입자의 절반 이상은 보증금이 5%이상 오르면 감당하기 어렵다고 느끼고 있었다.
이같은 결과는 주택금융공사가 최근 전국 만 20∼59세 가구주
5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드러났다.
자기집을 소유한 가구는 전체의 49.6%로 2011년의 50.6%보다
1%P 떨어졌다.
2007년에는 이 비율이 63.6%였다.
반면 전세와 월세가 각각 전체가구의 25.4%, 13.2%에 달했다.
2011년까지 거의 없던 반전세는 지난해 전체가구의 4.4%까지 올라
전세가 점차 월세로 바뀌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전세임대계약 평균 지속기간은 2.9년, 월세는 2.3년 이었다.
지난해 전세보증금은 평균 1억 183만원으로 처음 1억원선을 넘어섰다.
2011년 9천47만원보다 1천만원이상 늘어난 것이다.
2010년에는 7천528만원이었다.
반전세 보증금도 전년대비 1천만원이상 늘어난 4천490만원으로 나타났다.
평균 월세는 33만원으로 40만원이상이 전체의 32.6%로 가장 많았다.
전세계약을 유지하고 싶은 가구의 53.5%는 보증금이 5%이하 올라야
감내할 수 있다고 답했고 10%이상 수용 가능하다는 가구는
전체의 13.2%에 그쳤다.
향후 집을 임차하려는 가구는 전체의 58%로 이 가운데 전세 희망자가
전체의 85.2%나 되어 전세난이 심해질 수 밖에 없는 원인으로 분석됐다.
한편 전체가구의 57.3%가 자가주택을 소유하고 있으며 유주택자의
17.8%는 2채이상 집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