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차시장의 구조적 변화와 매매거래 위축으로 인해 2021년 전세가가 매매가를 앞선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수도권 주택시장 전망과 대응` 보고서에서 2020년까지 매매가격은 연평균 0.5% 내리는데 비해 전세가격은 연평균 7.3% 오르면서 2021년 전세가율이 100.7%에 도달할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주산연은 또, 수도권의 전세난은 현재 4년차(40개월)에 진입했으며, 현재 진행중인 점을 감안할 때 수도권의 전세난이 8년간 장기화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노희순 주택산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전월세시장의 반복적인 불안을 피하기 위해 정책발표 시점과 시행시점 차이를 최소화해야 하며, 기업형 임대주택시장의 조속한 정착이 요구된다"고 강조했습니다.
![](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30723/B20130723100446577.jpg)
주택산업연구원은 `수도권 주택시장 전망과 대응` 보고서에서 2020년까지 매매가격은 연평균 0.5% 내리는데 비해 전세가격은 연평균 7.3% 오르면서 2021년 전세가율이 100.7%에 도달할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주산연은 또, 수도권의 전세난은 현재 4년차(40개월)에 진입했으며, 현재 진행중인 점을 감안할 때 수도권의 전세난이 8년간 장기화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노희순 주택산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전월세시장의 반복적인 불안을 피하기 위해 정책발표 시점과 시행시점 차이를 최소화해야 하며, 기업형 임대주택시장의 조속한 정착이 요구된다"고 강조했습니다.
![](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30723/B20130723100446577.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