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산업.발전부문 426개 관리업체에 대한 2014년도 온실가스.에너지 감축목표를 통보했다고 밝혔습니다.
2014년 온실가스 예상배출량은 5억8천320만톤CO2인 반면 배출허용량은 5억6천770만톤CO2로, 업계의 감축총량은 1천550만톤CO2입니다.
2013년 감축률은 1.7%, 2014년 감축률은 2.66%이며 이는 2011년 7월 국무회의시 확정된 부문.업종별 감축목표에 따라 설정된 것입니다.
업종별로 보면 철강, 석유화학, 시멘트 등 상위 3개 업종의 감축규모는 120백만톤CO2이며 이는 산업부문 감축량(320만톤CO2)의 38%를 차지합니다.
업체별로는 포스코, S-Oil 및 삼성전자 등 배출허용량 상위 10개 기업이 130만톤CO2를 감축해야 하며 산업부문 감축량의 39.9%를 차지합니다.
산업부 관계자는 "산업부문의 온실가스 감축량 320만톤CO2는 전기차 187만대를 도입하는 효과와 동일하며 발전부문은 1,230만톤CO2의 온실가스를 감축함으로써 50만KW급 화력발전소 4기 건설에 해당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감축목표를 부여받은 관리업체는 목표를 부여받은 날로부터 30일이내에 이의신청이 가능하며 2015년에 정부는 이행실적을 평가해 미달성 업체에겐 개선명령이, 미이행시 최대 1,0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2014년 온실가스 예상배출량은 5억8천320만톤CO2인 반면 배출허용량은 5억6천770만톤CO2로, 업계의 감축총량은 1천550만톤CO2입니다.
2013년 감축률은 1.7%, 2014년 감축률은 2.66%이며 이는 2011년 7월 국무회의시 확정된 부문.업종별 감축목표에 따라 설정된 것입니다.
업종별로 보면 철강, 석유화학, 시멘트 등 상위 3개 업종의 감축규모는 120백만톤CO2이며 이는 산업부문 감축량(320만톤CO2)의 38%를 차지합니다.
업체별로는 포스코, S-Oil 및 삼성전자 등 배출허용량 상위 10개 기업이 130만톤CO2를 감축해야 하며 산업부문 감축량의 39.9%를 차지합니다.
산업부 관계자는 "산업부문의 온실가스 감축량 320만톤CO2는 전기차 187만대를 도입하는 효과와 동일하며 발전부문은 1,230만톤CO2의 온실가스를 감축함으로써 50만KW급 화력발전소 4기 건설에 해당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감축목표를 부여받은 관리업체는 목표를 부여받은 날로부터 30일이내에 이의신청이 가능하며 2015년에 정부는 이행실적을 평가해 미달성 업체에겐 개선명령이, 미이행시 최대 1,0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