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가계부채를 바라보는 민·관의 시각이 크게 엇갈리고 있습니다.
한쪽에선 금융위기 가능성까지 언급하며 심각하게 바라보지만 정부는 지나친 기우라며 일축합니다.
보도에 김택균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6월말 기준 우리나라의 가계부채는 총 980조원.
500조원을 밑돌던 가계부채가 두 배가 되기까진 채 10년이 걸리지 않았습니다.
빚상환 능력을 의미하는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137%까지 늘며 점점 악화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가계부채 규모가 1천조원에 육박하면서 우려하는 목소리가 부쩍 늘고 있습니다.
삼성경제연구소는 보고서를 통해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가 시작되면 가계부채가 금융위기의 뇌관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양적완화 축소시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앞으로 1%포인트 가량 상승하고 이로 인해 한국의 시장금리도 동반 상승할 수밖에 없다는 겁니다.
특히 가계대출 비중이 높은 일부 상호신용금고가 도산하는 등 제2금융권의 부실이 전체 금융시스템 위기로 전이될 가능성이 크다는 겁니다.
가계부채에 대한 이같은 경고에 대해 정부는 지나친 기우라는 입장입니다.
우선 양적완화 축소에도 불구하고 전세계 대출 금리에 영향을 주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 시기는 빨라야 2015년 이후에나 가능하다는 겁니다.
또 제2금융권이 상대적으로 취약하긴 하지만 시스템 위기를 초래할 정도는 아니라는게 정부의 판단입니다.
<인터뷰> 정부 관계자
"시스템 리스크로까지 확대될 것인가 저희들이 그렇게는 보지 않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제2금융권 건전성 감독을 강화하고 있고 아직은 연체율이나 이런 부분이 비교적 안정돼 있는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금리가 급격히 오를 경우 위험에 노출되는 변동금리 대출 대신 고정금리 대출 비중을 꾸준히 늘려온 점도 정부가 믿는 구석 가운데 하나입니다.
미국 양적완화 축소 시기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른 가운데 1천조원에 육박한 가계대출이 회복기의 한국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궁금증이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김택균입니다.
가계부채를 바라보는 민·관의 시각이 크게 엇갈리고 있습니다.
한쪽에선 금융위기 가능성까지 언급하며 심각하게 바라보지만 정부는 지나친 기우라며 일축합니다.
보도에 김택균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6월말 기준 우리나라의 가계부채는 총 980조원.
500조원을 밑돌던 가계부채가 두 배가 되기까진 채 10년이 걸리지 않았습니다.
빚상환 능력을 의미하는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137%까지 늘며 점점 악화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가계부채 규모가 1천조원에 육박하면서 우려하는 목소리가 부쩍 늘고 있습니다.
삼성경제연구소는 보고서를 통해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가 시작되면 가계부채가 금융위기의 뇌관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양적완화 축소시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앞으로 1%포인트 가량 상승하고 이로 인해 한국의 시장금리도 동반 상승할 수밖에 없다는 겁니다.
특히 가계대출 비중이 높은 일부 상호신용금고가 도산하는 등 제2금융권의 부실이 전체 금융시스템 위기로 전이될 가능성이 크다는 겁니다.
가계부채에 대한 이같은 경고에 대해 정부는 지나친 기우라는 입장입니다.
우선 양적완화 축소에도 불구하고 전세계 대출 금리에 영향을 주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 시기는 빨라야 2015년 이후에나 가능하다는 겁니다.
또 제2금융권이 상대적으로 취약하긴 하지만 시스템 위기를 초래할 정도는 아니라는게 정부의 판단입니다.
<인터뷰> 정부 관계자
"시스템 리스크로까지 확대될 것인가 저희들이 그렇게는 보지 않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제2금융권 건전성 감독을 강화하고 있고 아직은 연체율이나 이런 부분이 비교적 안정돼 있는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금리가 급격히 오를 경우 위험에 노출되는 변동금리 대출 대신 고정금리 대출 비중을 꾸준히 늘려온 점도 정부가 믿는 구석 가운데 하나입니다.
미국 양적완화 축소 시기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른 가운데 1천조원에 육박한 가계대출이 회복기의 한국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궁금증이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김택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