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출구전략이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을 둘러싸고 낙관론과 비관론이 팽팽합니다.
득실을 잘 따져 충분히 대비해야 할 것 같습니다.
보도에 김택균 기자입니다.
<기자>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가 한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점치는 대표주자는 현오석 부총리입니다.
이미 예견된 일인 만큼 정부로선 충분한 대비책을 세워놨다는 겁니다.
또 출구 전략이 미국 경제의 회복을 의미하는 만큼 대미 교역 규모가 큰 한국 경제엔 오히려 득이라는 설명입니다.
`미스터둠`으로 불리는 루비니 뉴욕대 교수도 어제 현오석 부총리를 만난 자리에서 비슷한 견해를 피력했습니다.
루비니 교수는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자본 재유입과 달러화 강세가 한국의 대미 수출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한국은행도 지난달 국정감사에서 "미국의 출구전략으로 신흥국의 성장이 둔화될 수 있지만 이로 인해 우리 경제가 크게 영향을 받지는 않을 것"으로 진단했습니다.
우리나라의 대중국과 아세안 수출의 대부분은 중간재인 반면 미국과 유럽은 최종 수요처여서 신흥국 경기 둔화보다 선진국 경기 회복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겁니다.
일각에선 사상 최고 수준인 3,432억달러의 외환보유고와 최저 수준의 단기외채 비중을 들며 급격한 자본 유출입에 따른 영향도 미미할 것으로 점칩니다.
하지만 다양한 국내외 변수를 들며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견해도 적지 않습니다.
최근 우리 정부와 연레협의를 마친 국제통화기금 IMF는 "미국의 통화정책 정상화가 한국에 미치는 영향은 적지만 중국, 미국, EU 등 주요 수출시장 중 부정적인 성장률이 나오거나 시장이 크게 요동치면 한국 경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스트로스 칸 IMF 전 총재 역시 "양적완화 축소로 달러화가 미국으로 회수되면 전세계가 자본 유출을 방어할 수 없는 상황이 오면서 글로벌 금융위기 때 같은 환율 전쟁이 다시 벌어질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실제로 미 재무부는 지난주 의회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한국 정부의 외환시장 개입을 문제삼고 과도한 경상수지 흑자폭을 줄여야 한다고 지적하는 등 벌써부터 환율전쟁 징후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일부 민간경제연구소에선 미국의 금리인상이 우리 경제의 아킬레스건인 980조원대의 가계부채 문제를 건드려 금융시스템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합니다.
미국의 출국전략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바라보는 시각이 첨예한 가운데 양적완화 축소가 본격화될 때까진 낙관론과 비관론의 팽팽한 대결은 당분간 계속될 걸로 보입니다.
한국경제TV 김택균입니다.
미국 출구전략이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을 둘러싸고 낙관론과 비관론이 팽팽합니다.
득실을 잘 따져 충분히 대비해야 할 것 같습니다.
보도에 김택균 기자입니다.
<기자>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가 한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점치는 대표주자는 현오석 부총리입니다.
이미 예견된 일인 만큼 정부로선 충분한 대비책을 세워놨다는 겁니다.
또 출구 전략이 미국 경제의 회복을 의미하는 만큼 대미 교역 규모가 큰 한국 경제엔 오히려 득이라는 설명입니다.
`미스터둠`으로 불리는 루비니 뉴욕대 교수도 어제 현오석 부총리를 만난 자리에서 비슷한 견해를 피력했습니다.
루비니 교수는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자본 재유입과 달러화 강세가 한국의 대미 수출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한국은행도 지난달 국정감사에서 "미국의 출구전략으로 신흥국의 성장이 둔화될 수 있지만 이로 인해 우리 경제가 크게 영향을 받지는 않을 것"으로 진단했습니다.
우리나라의 대중국과 아세안 수출의 대부분은 중간재인 반면 미국과 유럽은 최종 수요처여서 신흥국 경기 둔화보다 선진국 경기 회복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겁니다.
일각에선 사상 최고 수준인 3,432억달러의 외환보유고와 최저 수준의 단기외채 비중을 들며 급격한 자본 유출입에 따른 영향도 미미할 것으로 점칩니다.
하지만 다양한 국내외 변수를 들며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견해도 적지 않습니다.
최근 우리 정부와 연레협의를 마친 국제통화기금 IMF는 "미국의 통화정책 정상화가 한국에 미치는 영향은 적지만 중국, 미국, EU 등 주요 수출시장 중 부정적인 성장률이 나오거나 시장이 크게 요동치면 한국 경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스트로스 칸 IMF 전 총재 역시 "양적완화 축소로 달러화가 미국으로 회수되면 전세계가 자본 유출을 방어할 수 없는 상황이 오면서 글로벌 금융위기 때 같은 환율 전쟁이 다시 벌어질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실제로 미 재무부는 지난주 의회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한국 정부의 외환시장 개입을 문제삼고 과도한 경상수지 흑자폭을 줄여야 한다고 지적하는 등 벌써부터 환율전쟁 징후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일부 민간경제연구소에선 미국의 금리인상이 우리 경제의 아킬레스건인 980조원대의 가계부채 문제를 건드려 금융시스템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합니다.
미국의 출국전략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바라보는 시각이 첨예한 가운데 양적완화 축소가 본격화될 때까진 낙관론과 비관론의 팽팽한 대결은 당분간 계속될 걸로 보입니다.
한국경제TV 김택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