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증가율이 예금 증가율을 앞질렀다.
금융위기이후 처음이다.
금융소득에 대한 정부의 과세 강화, STX·동양사태에 따른 대기업의 대출수요 증가가 주된 이유로 풀이된다.
5일 한국은행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9월 은행들이 받은 총예금 평균잔액은 998조6,000억원으로
12월 현재 잔액은 1천조원을 넘은 것으로 추정된다.
전년 동기 대비 예금 증가율은 2.7%에 머무른 것으로 보인다.
대출은 꾸준히 늘어 9월 은행들이 내어준 총대출 평균잔액은 1,138조원으로 한 해 전보다 4.1% 증가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줄곧 마이너스(-) 상태에 머물던 `예대 증가율 갭(gap)`이
올해 하반기부터 플러스(+)로 돌아선 것이다.
대출 증가율에서 예금 증가율을 뺀 예대 증가율 갭은 2010년 9월 -16.0%P까지 떨어졌으나
올해 6월에 +0.7%P, 9월에 1.4%P로 상승했다.
예금 증가세 둔화와 대출 증가세 본격화의 배경으로는
정부 정책과 최근의 기업 자금 사정 등을 꼽을 수 있다.
박근혜 정부의 지하경제 양성화 기조와 금융소득에 대한 종합과세 기준 강화(5천만원 이상→2천만원 이상)에 따라
거액 예금이 빠져나간 게 예금 감소의 주된 원인으로 보인다.
단적인 예로 국민·농협·우리·신한·하나 등 5개 시중은행의 10억원 초과 예금 잔액은
지난 8월 말 231조5천억원으로 1년 전보다 17조2천억원(6.9%)이나 감소했다.
대출 측면에서는 정부의 중소기업 지원 강화 정책으로
중소기업 대출이 늘어난 게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STX, 동양 등 대기업의 잇따른 부실로 회사채 시장이 자금 조달 구실을 못하게 되면서
대기업의 은행 대출 수요가 늘어난 것도 큰 몫을 했다.
금융위기이후 처음이다.
금융소득에 대한 정부의 과세 강화, STX·동양사태에 따른 대기업의 대출수요 증가가 주된 이유로 풀이된다.
5일 한국은행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9월 은행들이 받은 총예금 평균잔액은 998조6,000억원으로
12월 현재 잔액은 1천조원을 넘은 것으로 추정된다.
전년 동기 대비 예금 증가율은 2.7%에 머무른 것으로 보인다.
대출은 꾸준히 늘어 9월 은행들이 내어준 총대출 평균잔액은 1,138조원으로 한 해 전보다 4.1% 증가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줄곧 마이너스(-) 상태에 머물던 `예대 증가율 갭(gap)`이
올해 하반기부터 플러스(+)로 돌아선 것이다.
대출 증가율에서 예금 증가율을 뺀 예대 증가율 갭은 2010년 9월 -16.0%P까지 떨어졌으나
올해 6월에 +0.7%P, 9월에 1.4%P로 상승했다.
예금 증가세 둔화와 대출 증가세 본격화의 배경으로는
정부 정책과 최근의 기업 자금 사정 등을 꼽을 수 있다.
박근혜 정부의 지하경제 양성화 기조와 금융소득에 대한 종합과세 기준 강화(5천만원 이상→2천만원 이상)에 따라
거액 예금이 빠져나간 게 예금 감소의 주된 원인으로 보인다.
단적인 예로 국민·농협·우리·신한·하나 등 5개 시중은행의 10억원 초과 예금 잔액은
지난 8월 말 231조5천억원으로 1년 전보다 17조2천억원(6.9%)이나 감소했다.
대출 측면에서는 정부의 중소기업 지원 강화 정책으로
중소기업 대출이 늘어난 게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STX, 동양 등 대기업의 잇따른 부실로 회사채 시장이 자금 조달 구실을 못하게 되면서
대기업의 은행 대출 수요가 늘어난 것도 큰 몫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