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앞서보신 것처럼 우리 정부는 국제 공조를 통한 출구전략 대응 뿐만 아니라 자체적인 대응 태세도 한층 강화하고 나섰습니다.
만일에 있을지 모를 금융시장의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카드로 어떤 것들이 검토되고 있는지 김택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정부는 19일 새벽 윤곽이 드러날 미국 FOMC 회의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그 어느 때보다 출구전략 돌입 가능성이 커진 만큼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등 긴장을 늦추지 않고 있습니다.
<전화 인터뷰> 정부 관계자
"FOMC가 어떤 결정을 할지, 어떤 멘트가 나갈지에 따라서 시장 반응이 달라지지 않겠습니까? 그런 부분에 대해 예의주시를 하고 있고 필요하면 내부적으로 회의를 할 수도 있고 관계기관 회의를 할 수도 있고 말 그대로 상황에 따라 신속히 대응하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출구전략이 공식화되거나 버냉키 미 연준 의장의 발언 수위가 예상외로 강할 경우 금융수장들이 모이는 긴급 시장상황점검회의가 당장 19일에 개최될 가능성도 열려 있습니다.
또 금융시장의 반응 정도에 따라 이미 마련된 대응 시나리오를 단계별로 가동하게 됩니다.
우선 외환시장에서 자금이 급속히 유출될 경우 선물환 포지션 한도 규제와 외환건전성 부담금 등 이른바 거시건전성 3종세트를 강화해 시장 안정을 도모합니다.
한국은행은 수출환어음 매입에 나서거나 은행권의 무역금융 축소 위험을 차단해 외환 불안이 실물 경제로 전이되는 걸 막습니다.
외화 유동성에 문제가 생길 경우 외국환 평형기금 채권 발행과 통화 스와프의 규모 확대도 검토 대상입니다.
채권시장에서 외국자금 유출이 가속화되거나 국고채 투매로 인한 자금 유출이 빨라진다면 국고채 발행규모 축소와 국고채 직매입, 조기상환 물량 축소 등의 조치가 뒤따릅니다.
정부는 그러나 FOMC 회의 결과가 시장에 큰 충격을 줄 만한 수준은 아닐 것이란 쪽에 무게를 두면서 추이를 예의주시 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김택균입니다.
앞서보신 것처럼 우리 정부는 국제 공조를 통한 출구전략 대응 뿐만 아니라 자체적인 대응 태세도 한층 강화하고 나섰습니다.
만일에 있을지 모를 금융시장의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카드로 어떤 것들이 검토되고 있는지 김택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정부는 19일 새벽 윤곽이 드러날 미국 FOMC 회의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그 어느 때보다 출구전략 돌입 가능성이 커진 만큼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등 긴장을 늦추지 않고 있습니다.
<전화 인터뷰> 정부 관계자
"FOMC가 어떤 결정을 할지, 어떤 멘트가 나갈지에 따라서 시장 반응이 달라지지 않겠습니까? 그런 부분에 대해 예의주시를 하고 있고 필요하면 내부적으로 회의를 할 수도 있고 관계기관 회의를 할 수도 있고 말 그대로 상황에 따라 신속히 대응하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출구전략이 공식화되거나 버냉키 미 연준 의장의 발언 수위가 예상외로 강할 경우 금융수장들이 모이는 긴급 시장상황점검회의가 당장 19일에 개최될 가능성도 열려 있습니다.
또 금융시장의 반응 정도에 따라 이미 마련된 대응 시나리오를 단계별로 가동하게 됩니다.
우선 외환시장에서 자금이 급속히 유출될 경우 선물환 포지션 한도 규제와 외환건전성 부담금 등 이른바 거시건전성 3종세트를 강화해 시장 안정을 도모합니다.
한국은행은 수출환어음 매입에 나서거나 은행권의 무역금융 축소 위험을 차단해 외환 불안이 실물 경제로 전이되는 걸 막습니다.
외화 유동성에 문제가 생길 경우 외국환 평형기금 채권 발행과 통화 스와프의 규모 확대도 검토 대상입니다.
채권시장에서 외국자금 유출이 가속화되거나 국고채 투매로 인한 자금 유출이 빨라진다면 국고채 발행규모 축소와 국고채 직매입, 조기상환 물량 축소 등의 조치가 뒤따릅니다.
정부는 그러나 FOMC 회의 결과가 시장에 큰 충격을 줄 만한 수준은 아닐 것이란 쪽에 무게를 두면서 추이를 예의주시 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김택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