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득계층과 자산이 많은 사람일수록 경제적 행복지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장 낮은 소득계층과 자산이 적은 사람들과의 행복지수 차이도 약 2배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9일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현안과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소득별로 경제적 행복지수가 가장 높은 소득층은 1억원 이상의 고소득자로 61.5를 기록해, 가장 낮은 소득층(2000만원 미만)의 31.3보다 두 배 가까이 차이가 났습니다.
자산별 행복지수에서도 20억원 이상 자산가의 경제적 행복지수가 72.2로 가장 높았던 반면, 1억원 미만의 자산을 보유한 사람들의 행복지수는 34.1을 기록해 두 배 이상의 격차를 보였습니다.
직업별 경제적 행복지수는 전문직(60.0)-공무원(55.6)-직장인(41.2)-주부(39.5)-자영업자(34.4)-기타·무직(31.7) 순으로 높게 조사됐습니다.
혼인상태별 경제적 행복지수는 미혼자가 43.4으로 가장 높았고, 기혼자 39.8, 이혼·사별 34.5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이와 함께 2014년 경제의 가장 큰 희망요인으로 응답자의 31.7%는 `시간제 등 일자리 증가`를 가장 많이 꼽았습니다.
이어 25.0%는 ‘높은 수출 경쟁력’, 22.6%는 ‘주식·부동산 시장 회복’을 2014년 우리 경제의 희망 요인이라고 응답했습니다.
정부가 체감경기 회복을 위해서 가장 집중해야 할 경제 정책을 묻는 질문에는 전체의 38.4%는 ‘서민물가 안정’, 27.3%는 ‘일자리 확대 지원’이 가장 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
아울러 이번 조사 결과 전체의 경제적 행복지수는 2013년 하반기 대비 하락했으며, 여성과 60대 이상 연령층의 행복지수가 전 분기 대비 상승했습니다.
특히 경제적 행복감이 가장 낮았던 60대 이상이 전기대비 6.7p 높아진 40.1을 기록해 2010년 상반기 이후 3년6개월만에 40을 넘어섰습니다.
2014년 상반기에 대한 기대치를 보여주는 미래 경제적 행복 예측지수는 63.1로 전기대비 0.2p 상승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2013년 12월 16일부터 2013년 12월 21일까지 6일간 전국의 20세 이상의 성인남녀 1008명을 전화 설문하는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서 ±3.09입니다.
9일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현안과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소득별로 경제적 행복지수가 가장 높은 소득층은 1억원 이상의 고소득자로 61.5를 기록해, 가장 낮은 소득층(2000만원 미만)의 31.3보다 두 배 가까이 차이가 났습니다.
자산별 행복지수에서도 20억원 이상 자산가의 경제적 행복지수가 72.2로 가장 높았던 반면, 1억원 미만의 자산을 보유한 사람들의 행복지수는 34.1을 기록해 두 배 이상의 격차를 보였습니다.
직업별 경제적 행복지수는 전문직(60.0)-공무원(55.6)-직장인(41.2)-주부(39.5)-자영업자(34.4)-기타·무직(31.7) 순으로 높게 조사됐습니다.
혼인상태별 경제적 행복지수는 미혼자가 43.4으로 가장 높았고, 기혼자 39.8, 이혼·사별 34.5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이와 함께 2014년 경제의 가장 큰 희망요인으로 응답자의 31.7%는 `시간제 등 일자리 증가`를 가장 많이 꼽았습니다.
이어 25.0%는 ‘높은 수출 경쟁력’, 22.6%는 ‘주식·부동산 시장 회복’을 2014년 우리 경제의 희망 요인이라고 응답했습니다.
정부가 체감경기 회복을 위해서 가장 집중해야 할 경제 정책을 묻는 질문에는 전체의 38.4%는 ‘서민물가 안정’, 27.3%는 ‘일자리 확대 지원’이 가장 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
아울러 이번 조사 결과 전체의 경제적 행복지수는 2013년 하반기 대비 하락했으며, 여성과 60대 이상 연령층의 행복지수가 전 분기 대비 상승했습니다.
특히 경제적 행복감이 가장 낮았던 60대 이상이 전기대비 6.7p 높아진 40.1을 기록해 2010년 상반기 이후 3년6개월만에 40을 넘어섰습니다.
2014년 상반기에 대한 기대치를 보여주는 미래 경제적 행복 예측지수는 63.1로 전기대비 0.2p 상승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2013년 12월 16일부터 2013년 12월 21일까지 6일간 전국의 20세 이상의 성인남녀 1008명을 전화 설문하는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서 ±3.09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