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TV시장에서 8년 연속 점유율 1위를 지키는 삼성전자가 상업용 디스플레이(LFD·Large Format Display) 시장에서도 5년 연속 글로벌 점유율 1위를 달리고 있습니다.
시장조사업체 디스플레이서치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해 3분기까지 세계 LFD 시장에서 점유율(수량 기준) 26.3%를 기록해 2위인 일본 NEC(10.4%)를 크게 앞섰습니다.
3위는 LG전자(5.8%), 4위는 샤프(4.0%), 5위는 필립스(2.5%)가 각각 차지했습니다.
삼성전자와 NEC의 시장 점유율은 2011년에는 12.5%와 7.7%로 격차가 4.8%포인트에 불과했지만 2012년에는 8.7%포인트(삼성 19.0%, NEC 10.3%)로 , 작년에는 15.9%포인트까지 벌어졌습니다.
상업용 디스플레이, LFD란 스마트 광고 보드인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nage)와 레스토랑·패스트푸드점 등의 메뉴 보드, 회의용 전자칠판(IWB) 등을 말하는데, 이 LFD 시장 규모는 2012년 215만4천대에서 지난해 220만2천대로 소폭 성장에 그쳤지만 올해는 257만9천대로 17%가량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시장조사업체 디스플레이서치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해 3분기까지 세계 LFD 시장에서 점유율(수량 기준) 26.3%를 기록해 2위인 일본 NEC(10.4%)를 크게 앞섰습니다.
3위는 LG전자(5.8%), 4위는 샤프(4.0%), 5위는 필립스(2.5%)가 각각 차지했습니다.
삼성전자와 NEC의 시장 점유율은 2011년에는 12.5%와 7.7%로 격차가 4.8%포인트에 불과했지만 2012년에는 8.7%포인트(삼성 19.0%, NEC 10.3%)로 , 작년에는 15.9%포인트까지 벌어졌습니다.
상업용 디스플레이, LFD란 스마트 광고 보드인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nage)와 레스토랑·패스트푸드점 등의 메뉴 보드, 회의용 전자칠판(IWB) 등을 말하는데, 이 LFD 시장 규모는 2012년 215만4천대에서 지난해 220만2천대로 소폭 성장에 그쳤지만 올해는 257만9천대로 17%가량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