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 한국의 경제개혁 정책과 시장 개방을 배워야 한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4일 사설 `Korea`s Lesson for Japan`을 통해 주장했다.
이 신문은 "한국이 전후시대 일본의 수출지향적 경제모델을 모방해 산업화를 이뤘지만,
이제는 교사(일본)가 학생(한국)으로부터 배울 차례"라며 한국과 일본의 경제상황을 비교했다.
일본이 엔저(円低), 구시대적 재정부양책을 고집하고 있는 반면, 한국은 원화 강세를 더 용인하고
서비스산업에서의 불필요한 규제를 줄이며 시대에 뒤떨어진 산업 정책을 수정하는 등 국내 개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무역 부문에서도 한국이 몇년 전부터 여러 국가와 신속하고 적극적으로 FTA(자유무역협정)를 체결하는 등
국내시장을 개방해 이득을 보고 있다는 점을 일본이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WSJ는 "애플사의 주요 경쟁사는 현재 일본 기업이 아니라 삼성"이라며
한국 기업들이 일본의 엔화 약세 정책에도 제품력 향상을 통해 지난해 선전할 수 있었다고 분석했다.
또 "2012년 초 원화가 달러대비 9% 상승했음에도 한국 경제 펀더멘탈이 여전히 강하다는 것은,
엔화 약세가 수출 경쟁력에 매우 중요하다는 일본 아베 신조 총리의 핵심 강령과 대비된다"고 꼬집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4일 사설 `Korea`s Lesson for Japan`을 통해 주장했다.
이 신문은 "한국이 전후시대 일본의 수출지향적 경제모델을 모방해 산업화를 이뤘지만,
이제는 교사(일본)가 학생(한국)으로부터 배울 차례"라며 한국과 일본의 경제상황을 비교했다.
일본이 엔저(円低), 구시대적 재정부양책을 고집하고 있는 반면, 한국은 원화 강세를 더 용인하고
서비스산업에서의 불필요한 규제를 줄이며 시대에 뒤떨어진 산업 정책을 수정하는 등 국내 개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무역 부문에서도 한국이 몇년 전부터 여러 국가와 신속하고 적극적으로 FTA(자유무역협정)를 체결하는 등
국내시장을 개방해 이득을 보고 있다는 점을 일본이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WSJ는 "애플사의 주요 경쟁사는 현재 일본 기업이 아니라 삼성"이라며
한국 기업들이 일본의 엔화 약세 정책에도 제품력 향상을 통해 지난해 선전할 수 있었다고 분석했다.
또 "2012년 초 원화가 달러대비 9% 상승했음에도 한국 경제 펀더멘탈이 여전히 강하다는 것은,
엔화 약세가 수출 경쟁력에 매우 중요하다는 일본 아베 신조 총리의 핵심 강령과 대비된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