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코스피 3000 시대.
박근혜 대통령이 5년 임기내 달성하겠다고 내건 공약입니다.
하지만 취임 후 1년이 지난 지금까지 코스피는 제자리걸음만 반복하고 있는데요.
대외변수가 직접적인 원인이었지만, 증시를 반전시킬 정부의 노력도 미진했다는 분석입니다.
조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2012년 대통령 선거를 하루 앞두고 한국거래소를 방문한 박근혜 대통령은 "임기 내 코스피 3000 시대를 꼭 열겠다"고 공언했습니다.
박 대통령이 취임한 직후 코스피는 2030을 넘기며 금방이라도 박스권을 돌파하고 3000을 향해 달려갈 것 같았습니다.
그러나 미국 연준의 양적완화 축소 방침이 알려지며 코스피는 1700선까지 떨어졌고, 이후에도 엔저와 어닝쇼크 등 대내외 변수에 발목 잡히며 좀처럼 상승 반전하지 못했습니다.
같은 기간 미국 증시(다우존스)는 27%, 일본 증시(니케이225)는 아베노믹스에 힘입어 무려 57% 급등한 것에 비교하면 더욱 초라한 성적입니다.
더 큰 문제는 개인 투자자가 급감하며 거래가 위축돼 코스피 하루평균 거래대금이 3조원도 미치지 못하는 날이 많아졌다는 점입니다.
금융투자업계는 박 대통령 1년차에 유난히 대외변수가 많았지만, 증시 활성화를 직접적으로 이끌 경제정책도 찾기 힘들었다고 분석합니다.
대신 박근혜 정부 2년차를 맞이한 올해는 정부의 국정 방향이 뚜렷해질 것으로 보이는 만큼 `집권 2년차` 효과가 기대된다는 전망입니다.
실제로 지난 5번의 정권 가운데 2년차에 코스피 지수는 성과가 가장 좋았고, 평균 상승률은 32%에 이르렀습니다.
김대중 정부 2년차인 1999년 코스피는 `IT 광풍`이 불며 82.78%, 두 배 가까이 뛰었고, 노무현 정부 역시 집권 2년차 하반기부터 바이오 업종들이 주목받으며 본격적인 상승랠리가 시작됐습니다.
이명박 정부 2년차인 2009년에도 코스피는 50% 가까이 올랐고, 그 중심에는 녹색성장 테마주들이 있었습니다.
이에 증권가에서는 현 정부가 주창하는 `창조경제`에 따른 실질적인 수혜 업종이 누가 될지 주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황소장을 이끌 위한 주도 업종 만큼이나 직접적인 투자 활성화 정책도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한국경제TV 조연입니다.
코스피 3000 시대.
박근혜 대통령이 5년 임기내 달성하겠다고 내건 공약입니다.
하지만 취임 후 1년이 지난 지금까지 코스피는 제자리걸음만 반복하고 있는데요.
대외변수가 직접적인 원인이었지만, 증시를 반전시킬 정부의 노력도 미진했다는 분석입니다.
조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2012년 대통령 선거를 하루 앞두고 한국거래소를 방문한 박근혜 대통령은 "임기 내 코스피 3000 시대를 꼭 열겠다"고 공언했습니다.
박 대통령이 취임한 직후 코스피는 2030을 넘기며 금방이라도 박스권을 돌파하고 3000을 향해 달려갈 것 같았습니다.
그러나 미국 연준의 양적완화 축소 방침이 알려지며 코스피는 1700선까지 떨어졌고, 이후에도 엔저와 어닝쇼크 등 대내외 변수에 발목 잡히며 좀처럼 상승 반전하지 못했습니다.
같은 기간 미국 증시(다우존스)는 27%, 일본 증시(니케이225)는 아베노믹스에 힘입어 무려 57% 급등한 것에 비교하면 더욱 초라한 성적입니다.
더 큰 문제는 개인 투자자가 급감하며 거래가 위축돼 코스피 하루평균 거래대금이 3조원도 미치지 못하는 날이 많아졌다는 점입니다.
금융투자업계는 박 대통령 1년차에 유난히 대외변수가 많았지만, 증시 활성화를 직접적으로 이끌 경제정책도 찾기 힘들었다고 분석합니다.
대신 박근혜 정부 2년차를 맞이한 올해는 정부의 국정 방향이 뚜렷해질 것으로 보이는 만큼 `집권 2년차` 효과가 기대된다는 전망입니다.
실제로 지난 5번의 정권 가운데 2년차에 코스피 지수는 성과가 가장 좋았고, 평균 상승률은 32%에 이르렀습니다.
김대중 정부 2년차인 1999년 코스피는 `IT 광풍`이 불며 82.78%, 두 배 가까이 뛰었고, 노무현 정부 역시 집권 2년차 하반기부터 바이오 업종들이 주목받으며 본격적인 상승랠리가 시작됐습니다.
이명박 정부 2년차인 2009년에도 코스피는 50% 가까이 올랐고, 그 중심에는 녹색성장 테마주들이 있었습니다.
이에 증권가에서는 현 정부가 주창하는 `창조경제`에 따른 실질적인 수혜 업종이 누가 될지 주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황소장을 이끌 위한 주도 업종 만큼이나 직접적인 투자 활성화 정책도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한국경제TV 조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