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40304/B20140304185631633.jpg)
전국의 휴대폰 유통업체 관계자들이 다음주 쯤 결론이 날 것으로 알려진 통신사업자들의 영업정지에 대해 강력히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통신유통협회)는 오늘(4일) 기자회견을 열고 "통신사업자(SK, KT, LGU+)들에 대한 영업정지 처분이 내려질 경우 그 동안 상상치 못했던 행동을 강행할 것"이라며 "우리에게는 사활이 걸려 있는 문제기 때문에 물불 가릴 처지가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안명학 통신유통협회장은 "영업정지를 통해 실제로 피해를 보는 사람이 누구인지가 중요하다"며 "마케팅 비용을 아끼면서 이득을 취하게 될 통신사업자 뒤에는 직원들 월급도 줄 수 없는 우리같은 대리점(판매점)이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들이 추산하는 통신사업자의 1년 마케팅 비용은 총 4~5조원으로 45일 이상의 영업정지를 받게 될 경우 대략 5천만 원의 비용을 절약하는 셈입니다.
하지만 제재를 결정하게 될 미래창조과학부(미래부) 관계자는 유통업체들 역시 `보조금 대란`에 일정 책임이 있는게 아니냐는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습니다.
이에 대해 통신유통협회의 한 자문위원은 "우리가 과거 보조금을 받을 당시 약간의 이익을 취한 건 분명 맞다"며 "그러나 우리는 (통신)사업자들이 가입자를 모으는데 필요한 도구였을 뿐"이라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결국 통신사업자들이 보조금을 풀며 시장을 혼란스럽게 만들었고 이에 대한 정부 제재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유통업체인 대리점과 판매점이 받게 된다는 말입니다.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자체에 대해서도 아쉬움을 토로했습니다.
이종천 통신유통협회 이사는 "단통법이 통과되면 오히려 우리를 찾는 소비자는 줄어들 것"이라며 "그래도 보조금의 노예처럼 돼버린 지금의 악순환 고리를 끊어낼 수 있다면 단통법이라도 찬성할 수밖에 없는 입장"이라고 밝혔습니다.
통신유통협회의 한 관계자는 기자회견 말미에 "우리는 휴대폰을 비싸게 파는 도둑이 아니"라며 "사태가 이 지경이 되도록 올바른 정책하나 내놓지 못하는 정부에게는 어떤 책임을 물을거냐"고 반문했습니다.